사회 전국

경기硏, 전원도시 이천·여주 미세먼지농도 경기도 평균보다 높아

전원도시로 떠오르고 있는 경기도 이천·여주시의 미세먼지농도가 경기도 평균 농도보다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기연구원이 낸 ‘경기 동부 도농복합지역의 미세먼지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천시의 연평균 미세먼지농도는 58㎍/㎥, 여주시는 54㎍/㎥이었다. 이는 경기도 31개 시·군의 평균 농도 53㎍/㎥를 넘는 수준이다. 특히 인근 수원(53㎍/㎥), 성남시(46㎍/㎥) 등 대도시 지역보다 오히려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

남양주시는 지난해 대기질 농도가 45㎍/㎥로 도내에서 제일 낮게 나타났다. 이어 양평군이 46㎍/㎥로 남양주시 다음으로 농도가 낮았다.


이에 반해 이천시는 지난해 58㎍/㎥로 경기동부지역에서 가장 높다. 여주시는 54㎍/㎥로 이천시 다음으로 높은 농도였지만 지난 2013년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광주시는 10년 동안 증감을 반복했으나 지난해 2016년 52㎍/㎥로 떨어졌다. 가평군은 48㎍/㎥로 경기동부지역 중 유일하게 농도가 증가했지만, 경기도 평균 수치보다 낮았다.

관련기사



경기연구원은 경기동부지역인 남양주시, 이천시, 광주시, 여주시, 가평군, 양평군 6개의 시·군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동부지역은 산업시설, 교통 등에 의한 자체적인 대기오염 유발 요인은 크지 않지만 중·소 배출시설의 관리 부족, 생물성연소 만연, 비산먼지 발생 등의 이유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며 “이들 시설에 대한 정밀조사와 관리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농업잔재물이나 생활쓰레기 연소, 화목난로 등 노천에서 행해지는 각종 연소행위에 대한 관리와 농경지나 나대지 등에 분포된 비산먼지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