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국당 문재인 정부 '피켓 시위' 공방 "피켓 떼야 국감할 수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가 자유한국당의 ‘피켓 시위’를 둘러싼 공방으로 일시 파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피켓을 떼야 국감을 할 수 있다”고 했고 한국당은 “지금의 여당도 야당 시절 했던 일”이라고 밝혔다.

이날 한국당 의원들은 정무위 국감장에서 노트북 앞면에 ‘문재인 정부 무능 심판’이라고 쓰인 피켓을 공개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피켓에 대해 항의하며 유감의 입장을 전했다.


정무위 민주당 간사인 이학영 의원은 “한국당 의원들이 피켓을 언론에 노출해 소정의 목적은 달성했으니 피켓을 떼고 국감을 시작하자”라며 “그렇지 않으면 정상적인 의사 진행이 어렵다”고 전했다.

반면 한국당 간사인 김한표 의원은 “표현의 자유로 비폭력적으로 의사를 전달하는 것뿐이다. 국감 진행에 전혀 진행이 없다”며 “여야가 뒤바뀌기 오래 전에 경험했던 일”이라 밝혔다.


정무위는 오전 10시쯤 개회했으나 ‘피켓 공방’으로 개회 약 1시간 만에 정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여야는 한국당 의원들이 노트북을 덮은 채 국감을 진행해 피켓을 보이지 않게 하는 중재안에 협의한 후 오전 11시10분쯤에야 국감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날 다른 상임위 국감에서도 피켓 문제로 소동이 벌어졌다. 국회 농해수위 국감에서도 같은 문제로 여야가 설전을 벌이다 개회 1시간 만에 정회했고 국토교통위, 보건복지위 등에서도 피켓 시위를 두고 논쟁이 있었던 것.

한편 자유한국당 소속 김현아(국토교통위) 의원은 이날 ‘피켓 시위’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원은 지난해 새누리당 분당(分黨) 사태 때 분당파인 비상시국위원회 회의에 참석했고, 이후 바른정당 행사에 참여하는 등 ‘친바른정당’ 행보를 보여왔다. 추경 심사안 등에 당론과 반대로 찬성표를 행사했다.

이 때문에 그는 당으로부터 최근 당원권 정지 3년의 중징계를 받은 바 있다. 김 의원은 비례대표라 탈당하면 의원직이 상실될 것으로 알려졌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