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9월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가계부채대책 수위 '촉각'

투기지역 등 중심으로 주담대 신청 크게 감소... 대책 수위 조절되나

정부의 고강도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발표이 발표된 다음날인 3일 여의도의 한 시중은행 영업부 주택담보대출 전담 창구가 상담 고객이 없어 한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이호재기자.


정부의 추가 가계부채대책 발표를 앞두고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가 내놓을 가계부채대책의 강도가 다소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17년 9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 금융권 가계대출은 6조2,000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0조2,000억원)과 비교해 4조원 가량 줄어든 수치다.


은행권 가계대출 추이를 보면 9월 중 주택담보대출은 3조3,000억원 늘어 8월(3조1,000억원 증가) 대비 2,000억원 늘었다. 8·2 부동산 대책에 따라 대출 심사가 까다로워졌지만 대책 발표 이전에 맺은 주택매매계약건과 중도금 집단대출이 집행돼 결과적으로 대출 총액은 소폭 늘었다는 게 금융위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다만 금융당국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증가세가 앞으로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실제로 8·2대책의 직격탄을 맞은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를 중심으로 은행권의 주담대 신청건수가 크게 감소했다. 8·2 대책이 시행되기 전인 8월1일~22일 기준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의 은행권 일일 평균 주담대 신청 건수는 1,092건에 달했으나 9월 들어 469건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