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이라크, 쿠르드족 공격의 이면에는 '원유'가 있다

이라크, 키르쿠크주 공격

하루 15~20만 배럴 원유 생산

"쿠르드 자치정부 경제 기둥이지만

이라크도 IS와의 전쟁으로 원유 수출 필요"

이라크 군부대가 16일(현지시간) 쿠르드자치정부(KRG)가 실효지배하고 있는 키르쿠크주로 진격하고 있다.     /키르쿠크=AFP연합뉴스이라크 군부대가 16일(현지시간) 쿠르드자치정부(KRG)가 실효지배하고 있는 키르쿠크주로 진격하고 있다. /키르쿠크=AFP연합뉴스


이라크 정부가 독립투표를 강행한 쿠르드 자치정부를 향해 군사행동에 나섰다. 외신들은 이라크 정부가 주요 산유지를 쿠르드족에 넘기지 않기 위한 행보라고 분석했다.

AP통신은 하이데르 알아바디 이라크 총리가 16일(현지시간) 이라크 군이 쿠르드족이 거주하는 키르쿠크주로 진격한 사실을 인정했다고 보도했다. 알아바디 총리는 “전체 국민에 봉사하고 통합을 보전하라는 헌법상 임무를 완수하고 있다”며 “(쿠르드 지도부는) ISIS(IS의 옛이름)의 위협이 여전한데도 일방적 분리·독립투표로 이라크가 분열되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라크군은 15일 밤부터 16일 새벽까지 군사 작전을 벌여 쿠르드계가 관리해 오던 키르쿠크 시의 주요 군사기지와 석유회사도 장악했다.

키르쿠크는 이라크의 주요 유전지대로 하루 15만~20만 배럴의 원유가 생산된다. 대부분은 터키로 향하는 송유관을 통해 수출되고 있으며 자치구 경제의 기둥이 되고 있다.,


유전지대인 키르쿠크 주는 쿠르드자치정부(KRG)의 공인된 자치지역이 아니다. 그러나 IS의 공격을 KRG의 군조직 페슈메르가가 사수했고 이를 근거로 KRG가 자치권을 주장하면서 이번에 키르쿠크 주의 일부 지역에서 분리·독립 투표를 했다. 이라크군은 2014년 IS의 공격으로 이 지역에서 쫓겨난 상황으로 이후 KRG가 실효 지배를 이어왔다. 이라크 역시 IS와의 장기 전쟁으로 이 지역의 원유 수출권을 포기할 수 없는 처지다.

관련기사



곳곳에서 이라크 군과 페슈메르가 사이의 충돌이 발생했다. 이라크군은 키르쿠크 서부와 남부의 여러 지역을 장악했으며 그 지역의 시설 가운데 K1 공군기지, 발전소, 산업지구 등이 포함됐으며, 이 과정에서 이라크군과 페슈메라가가 교전을 벌였다. 구체적인 인명피해는 즉각 확인되지 않았다.

페슈메르가는 키르쿠크의 한 공항에서 전열을 재정비해 반격을 준비하고 있다. 페슈메르가 사령관인 아유브 유수프 장군은 “우리는 이곳에서 철수하지 않을 것”이라며 “공항에서 이라크군에 맞서 싸우겠다”고 말했다.

IS 격퇴 작전을 진행하는 미국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않았다. 미국 주도의 IS 대항 연합은 “새벽의 교전은 상호간 오해에 의한 것”이라며 쌍방의 상호 이해를 촉구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