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전 통신 네트워크에 인공지능 접목

SK텔레콤 직원들이 차세대 AI 네트워크 ‘탱고’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 직원들이 차세대 AI 네트워크 ‘탱고’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차세대 AI 네트워크 ‘탱고’(TANGO)를 전 통신 네트워크 영역으로 확대 적용했다고 19일 밝혔다.

탱고는 SK텔레콤이 약 2년에 걸쳐 자체 개발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다. 빅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을 통해 네트워크의 문제점들을 찾아 스스로 해결하고 최적화 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2월부터 자사의 유선망에 탱고를 적용했으며, 이번에 무선망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


회사 측은 “탱고는 인공지능이 신체의 기능 및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자동으로 최적의 치료 방법을 찾아주는 기술에 비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탱고는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품질을 최적화 한다. 지역·시간대별 트래픽 정보 등을 기반으로 품질을 자동으로 최적화하고, 네트워크 이상 징후가 감지될 경우 최적 대응 방안을 전문 관리자에게 알려줘 효율성을 높인다. 또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고 고객 체감 품질을 수치화 해 관리하고, 가상화 기술을 통해 IoT, 5G 등 새로운 네트워크 기능도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은 “5G 시대에는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AI 네트워크 운용 기술이 필수적”이라며 “SK텔레콤은 고객에게 최고의 네트워크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탱고’의 기능을 더욱 고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