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글픈 취준생의 현주소…'스펙' 뉴스에 많이 등장한 신조어 1위

언론진흥재단 보고서…멘붕·갑질·금수저 등 상위권

꿀벅지·몸짱 등 성상품화·외모지상주의 단어도 많아

지난 5년간 신문, 방송 기사 등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신조어는 ‘스펙’인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지난 5년간 신문, 방송 기사 등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신조어는 ‘스펙’인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지난 5년간 신문, 방송 기사 등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신조어 1위는 취업 준비생의 학력, 경력 등을 의미하는 ‘스펙’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빅데이터팀이 최근 공개한 ‘뉴스빅데이터로 보는 신조어’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까지 신조어가 사용된 기사 가운데 ‘스펙’ 관련 기사가 6만9,451건으로 가장 많았다. 뉴스빅데이터팀은 “스펙은 원래 전자제품의 사양과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였으나 현재는 취업 준비생의 ‘능력’을 표현할 때 쓰인다”면서 “청년실업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는 상황이 지속되며 취업 준비생들이 취업 시장에서 팔리는 ‘상품’으로서 자신을 표현하는 상황이 반영된 것”이라고 전했다.


멘탈붕괴의 줄임말인 ‘멘붕’이 쓰인 기사가 4만1,059건으로 많았다. 멘붕은 2000년대 말 웹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면서 널리 퍼졌는데 당황스럽거나 정신이 없는 상황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이다. 갑을관계에서 ‘갑’이 을을 하대한다는 의미인 ‘갑질’이 쓰인 기사는 2만5,075건으로 신조어 기사량 순위 3위로 나타났다. 잘 사는 부모의 경제력이 자녀의 지위를 결정한다는 의미로 쓰이는 ‘금수저’가 언급된 기사도 7,894건에 이르러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뉴스빅데이터팀은 “갑질이 본격적으로 기사에 등장한 건 2013년 포스코 임원의 기내 승무원 폭행 사건 때부터”며 “대리점주에게 우유를 강매한 ‘남양유업 사태’, 대한항공 조현아 전 부사장의 ‘땅콩 회항’ 사건 등을 통해 갑질이란 단어가 보통명사처럼 사용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뉴스에 등장한 신조어 중 유독 성상품화와 외모지상주의를 떠올리는 단어가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꿀벅지’(매력적인 허벅지를 뜻하는 말) 관련 기사는 1만2,492건으로 신조어 기사량 7위를 기록했고 ‘몸짱’(몸매가 좋다는 뜻) 기사는 9,448건으로 8위에 올랐다. ‘얼짱’(미남, 미녀를 일컫는 말), ‘베이글녀’(베이비 페이스와 글래머를 합성한 말)가 쓰인 기사도 각각 9,100건, 5,349건으로 신조어 기사량 10위, 14위를 기록했다. 뉴스빅데이터팀은 “여자 연예인의 몸매를 강조하는 온라인 기사가 쏟아지며 이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면서 “기사 조회 수를 높이기 위한 언론사의 경쟁을 드러내는 동시에 여성의 성을 과도하게 상품화시키는 사회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뉴스 신조어 분석은 언론진흥재단의 뉴스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를 통해 2013년부터 뉴스에 등장한 신조어 150개를 선별해 해당 단어가 등장한 기사 건수를 집계한 것이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