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종목·투자전략

[2017 국감] 김상조 "미래에셋·네이버 지분교환, 진성매각 아닐 수도"

■정무위

박용진 의원 "파킹거래에 해당"

최현만 부회장 "선진금융기법일 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에셋대우(006800)와 네이버의 콜옵션, 우선매수권 보유 등 여러 조건을 붙인 주식거래가 ‘꼼수’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보통 그런 의도로 택하는 방법입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은 19일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한국소비자원·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미래에셋과 네이버 간 지분교환이 진성 매각이라고 볼 수 있나”라고 질문하자 이같이 답했다.


미래에셋대우와 네이버는 지난 6월27일 국내외 디지털금융 비즈니스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며 각자 5,000억원씩을 투자해 지분을 교환했다. 미래에셋대우는 네이버 지분 1.71%를, 네이버는 미래에셋대우 지분 7.11%를 매입했다. 박 의원은 이 거래가 자사주 맞교환을 통해 증자부담을 줄이고 의결권은 보유하는 등 ‘꿩 먹고 알 먹고’ 효과라고 지적했다. 주식 처분의 행사 방향을 놓고 보면 파킹거래라고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최현만 미래에셋대우 수석부회장은 “일종의 선진금융기법”이라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같은 날 전주 국민연금 본사에서 열린 국감에서 이원희 이사장 직무대행은 해킹 시도에 대해 “(보안이) 완벽하지 않아 올해 망 분리 등 시스템을 정비하고 모의 해킹 훈련도 1년 1회에서 횟수를 늘리는 등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본지 10월16일자 1·3면 참조

이날 국감에서 여당은 국민연금의 삼성물산 합병 찬성 결정이 절차를 어겼고 2,35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질타했다. 또 북한에 진출한 해외 기업이 자금세탁 등과 연루된 경우가 있으므로 국민연금이 중국 등 기업에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성일종 자유한국당 의원에 따르면 올해 국민연금기금의 대(對)중국 주식투자액 34억달러 가운데 167만달러 상당의 주식투자를 한 중국기업 ‘ZTE Corporation’은 북한 자금 세탁에 동원된 기업이라고 꼬집었다./전주=임세원·박시진기자 see1205@sedaily.com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