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풍납토성 서쪽 성벽 흔적 발견....문지도 최초 확인

삼표산업 공장 이전 소송에 큰 영향 미칠 듯

신희권 교수 “문지 발견 한 것은 큰 성과”

풍납토성 발굴조사 지역 전경. [송파구청 제공] /연합뉴스풍납토성 발굴조사 지역 전경. [송파구청 제공] /연합뉴스


한성도읍기 백제의 왕성으로 확실시되고 있는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에서 발굴조사 20년 만에 서쪽 성벽과 문이 있던 문지(門址)로 추정되는 유구(遺構·건물의 자취)가 발견됐다.

20일 송파구청과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연구소가 지난 9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발굴조사에서 성벽과 석축 시설, 문지 추정 유구가 발견됐다. 풍납토성에서 처음으로 드러난 문지에서는 인위적으로 돌을 쌓은 양상이 확인됐고, 문을 지나는 폭 7m, 길이 약 10m의 도로 유적도 나왔다.

성벽은 현재 지표의 0.5∼1.5m 아래에 있었는데, 1.5∼2m 높이가 남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심 토루(土壘, 흙을 다져 쌓아올린 성벽)를 중심으로 두세 번 덧대어 성을 축조했다는 점도 확인됐다. 다만 중심 토루 부근에서는 골재를 채취한 뒤 넣은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콘크리트 덩어리가 발견됐다.


아울러 풍납토성의 서쪽 성벽은 기존의 예상지점보다 3m 정도 서쪽에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로 인해 성벽이 발굴조사 지역 북쪽에 있는 삼표레미콘 공장을 관통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이번 조사 결과는 삼표산업이 공장 이전을 막기 위해 정부를 상대로 낸 사업인정고시 취소소송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심 재판부는 공장 자리에 성벽이 존재할 가능성이 없거나 매우 낮다는 이유로 삼표산업의 손을 들어줬으나, 지하에 성벽이 지나갈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신희권 서울시립대 교수는 “무엇보다 풍납토성에서 문지를 발견한 것이 획기적인 성과”라며 “성벽의 방향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도록 최대한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