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가계부채대책] 부채 상환능력 부족 32만 가구…평균부채 '2억 9,900만원'



빚을 갚기 어려운 가구의 평균부채가 최소 2억9,900만 원으로 상환 능력이 있는 일반 가구의 3배를 웃도는 수준 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정부가 발표한 ‘가계부채 종합대책’에 따르면 채무 상환능력이 낮을수록 부채 상태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원리금상환부담(DSR)과 자산대비부채비율(DTA)를 기준으로 가계부채 차주의 상환능력을 ‘충분’, ‘양호’, ‘부족’, ‘불능’ 등 4그룹으로 나눠 종합적인 재무상황을 파악했다.

먼저 상환능력과 소득 및 부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부족’ 가구의 가구당 평균소득은 4,100만 원이었다. 이는 ‘충분’ 가구보다 2,000만 원 가량 낮은 수준이다.


특히 부채에서는 격차가 더 벌어졌다. 부족 가구의 평균부채는 2억 9,900만 원으로 9,700만 원인 ‘충분’ 가구의 3배를 웃돌았다. 자산과 소득 대비 부채비율에서도 ‘충분’ 가구가 각각 0.2%, 1.6%였지만 ‘부족’ 가구의 경우 1.2%, 7.3%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대출 유형과 용도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상환능력이 부족할수록 신용대출 및 신용카드대출 비중이 높았고 사업자금 마련용 대출의 비중 또한 높은 편이었다. 대출유형을 보면 ‘충분’, ‘양호’ 가구에서는 담보대출 비중이 각각 83%, 81.9%고 신용대출은 14.4%로 동일했다. ‘부족’ 가구의 경우 담보대출의 비중이 75.8%로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신용대출 비중은 20.1%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신용카드대출 역시 ‘부족’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로 ‘충분’(0.7%), ‘양호’(1.6%)가구보다 훨씬 컸다. 대출용도에서는 ‘충분’ 가구의 경우 절반에 가까운 47.1%가 ‘거주주택 마련’을 위해 돈을 빌렸으나 ‘부족’ 가구는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대출을 하는 경우가 40.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외 종사자 지위를 기준으로 보면 ‘충분’ 가구의 53.9%가 정규직이었으나 ‘부족’ 가구의 경우 이 비율은 38.6%까지 낮아졌다. 주택자산 보유비중에서도 ‘충분’ 가구의 67.5%가 자가를 소유한 반면, ‘부족’ 가구의 경우 절반인 35.5%에 그쳤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