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김용범 “코스닥 수익성 높아도 자금 끌어들이지 못해…상장 제도 개편”

자본시장 혁신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기관투자자·기업 세제 인센티브 제공 검토

초대형 IB 신규업무 인가 통해 기업금융 활성화

금융당국이 코스닥 상장 제도 전면 재정비에 나선다. 자본시장 투자자와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도 적극 검토한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6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자본시장 혁신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혁신성장을 위해선 자금이 생산적인 분야로 투입되는 생산적 금융이 자리매김해야 한다”면서 “성공 여부는 자본시장에 달려 있다는 각오로 과감하고 혁신적인 자본시장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3년 이후 코스닥 지수 상승률이 부동산 시장을 상회하며 수익성이 높았음에도 기관투자자는 순매도 추세를 지속하는 등 코스닥 시장이 충분한 자금을 끌어들이고 있지 못하다는 게 금융당국의 진단이다.

관련기사



혁신기업들의 원활한 코스닥 시장 진입을 위해 김 위원장은 “코스닥 등 자본시장 투자자와 기업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 제공 방안에 대해 관련 부처와 적극 협의하고, 코스피와 코스닥 종목을 균형 있게 반영한 신규 벤치마크 지수 개발하겠다”고 약속했다.

금융투자업계를 향해 혁신기업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관계형 금융’을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자본시장에 적극적으로 모험자본을 공급, 중개할 수 있는 혁신적인 플레이어를 양성해야 한다”면서 “초대형 IB에 대한 신규업무 인가 등을 통해 벤처투자 등 기업금융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면밀히 관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모비스 등 벤처기업, SBI인베스트먼트, 코리아에셋투자증권 등 벤처캐피탈, KB증권 등 금융투자업계에서 참석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