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주)넥솔론, 결국 26일 회생계획안 폐지 신청…정부 차원 대책 마련 필요성 제기









지난 2007년 설립 이후 지속된 투자 확대로 국내 1위 생산능력을 보유한 신재생에너지 관련기업 (주)넥솔론이 중국 업체를 중심으로 한 치킨게임 결과, 공급 과잉과 이에 따른 시장 가격 폭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결국 26일 회생계획안 폐지신청을 했다.

다수의 국내 태양광 업체가 도태된 상황에서 넥솔론 마저 퇴출될 경우 중국 업체의 시장독점(현 80%) 가속화로 제품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또한 태양광 산업 가치 사슬의 한축을 담당하는 잉곳, 웨이퍼 산업 경쟁력 악화 및 단절 초래도 우려된다.


김상준 넥솔론노조 노사협력부장은 “제품 판가가 1제품 약 1달러에서 전력비 비중이 30% 이상인 국내 상황에서는 막대한 중국 정부지원을 받는 중국 업체에 경쟁력이 되지 않는다”면서 “넥솔론이 전성기일 때 팔았던 웨이퍼 한 장 가격이 1,2000원 정도였는데 중국 업체와 가격경쟁을 하면서 600~800원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렇게 가격을 낮춰도 중국기업이 더 싼 가격을 시장에 내놓기 때문에 따라갈 수가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에 모기업인 oci와 최대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사업정책과 일자리 창출의 기여를 위해 넥솔론 채권을 출자전환하고 긴급 운영자금 투입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익산지역의 대표업체로써 상징성이 큰 업체인 만큼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제를 위해서 정부차원의 예산마련과 지원 대책 마련과 같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

한국노총 전국화학노동조합연맹도 최근 성명을 내고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 보호와 일자리 안정을 위한 넥솔론 정상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아울러 넥솔론 정상화 대책으로 공적자금 200억 지원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기요금 할인도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