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이번에는 '학벌주의 조장'...더 거세지는 홍종학 논란

1998년 출간한 저서에서

"한국에선 좋은 대학 가야"

명문대 지상주의 표현 비난

홍종학 후보자홍종학 후보자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과거 재벌을 암세포에 비유했던 사실이 드러나며 한 차례 곤욕을 치른 가운데 이번에는 학벌주의를 조장하는 내용의 저술활동이 비판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또 19대 국회의원 재직 시절 초등학생 딸에 대한 고액 증여를 둘러싸고 편법 의혹까지 불거진 상태여서 다음달 10일로 예정된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다시 난기류가 흐르고 있다.

홍 후보자는 지난 1998년 경원대(현 가천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할 당시 ‘삼수·사수를 해서라도 서울대에 가라’는 제목의 책을 썼다. 그는 이 책에서 학벌주의를 현실적으로 인정하고 조장하는 듯한 표현을 더러 사용했다. 그는 “한국에서는 좋은 대학에 들어가지 못하면 빌 게이츠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고 “명문대를 졸업하지 않으면 한계가 있다. 꼭 서울대에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종학 장관 후보자가 학벌주의를 조장하는 듯한 내용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저서 ‘삼수·사수를 해서라도 서울대에 가라’. 그는 이 책에서 “명문대를 졸업하지 않으면 한계가 있다”며 가방끈이 짧은 중소기업인들을 비하하는 듯한 표현을 썼다.홍종학 장관 후보자가 학벌주의를 조장하는 듯한 내용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저서 ‘삼수·사수를 해서라도 서울대에 가라’. 그는 이 책에서 “명문대를 졸업하지 않으면 한계가 있다”며 가방끈이 짧은 중소기업인들을 비하하는 듯한 표현을 썼다.


홍 후보자의 이 같은 ‘명문대 지상주의’는 ‘가방 끈’이 짧은 중소기업인들을 비하하는 듯한 내용으로 이어졌다. 그는 책에서 “하나의 기술을 개발하거나 조그만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데 성공했는지는 몰라도 그들(중소기업 창업주)에게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며 “그들은 세계의 천재와 경쟁해나갈 수 있는 근본적인 소양이 없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표현했다.

홍 후보자는 공식입장을 내 “20여년 전의 상황에서 펴낸 책에 정제되지 않은 표현으로 불편함을 줬을 수 있다. 취지와 이유 여하를 떠나 사과한다”고 밝혔지만 논란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앞서 홍 후보자는 2000년과 2001년 논문과 저서 등에서 재벌을 암세포에 비유하며 편향된 재벌관을 드러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그는 “재벌이 끊임없는 확장으로 중소기업을 몰락시키고, 죽어야 할 때 죽지 않고 끊임없이 자금을 끌어다 써 다른 기업에 피해를 주고, 결국 망할 때는 국가 경제 전체를 휘청이게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국회의원 재직시절 재산증식 과정에 대해서도 야당을 중심으로 철저한 검증이 예상된다. ‘2013~2016년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자료를 보면 홍 후보자 본인과 가족의 재산은 2012년 21억7,000만원에서 지난해 49억5,000만원으로 늘었다.

재산 급증은 주로 부동산 증여로 이뤄졌다. 홍 후보자는 2014년 장모로부터 8억4,000만원 상당의 아파트를 부인과 함께 증여받았고 2015년에는 부인과 딸이 역시 장모로부터 19억원 상당의 상가 일부를 증여받았다. 특히 홍 후보자 딸의 경우 초등학생으로 8억원이 넘는 지분을 증여받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부의 대물림’을 비판해온 홍 후보자에 비판의 화살이 쏟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최연혜 의원은 홍 후보자의 부인이 중학생 딸에게 2억2,000만 원을 빌려주는 계약을 맺었고, 이 계약에 따르면 미성년자인 딸이 어머니에게 지급해야 하는 이자가 연 1,000만 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증여세 탈루를 위해 채무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홍 후보자 측은 (딸이) 외할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건물 임대료로 꼬박꼬박 이자를 내고 있다는 입장이다. 홍 후보자는 또 정상적인 절차를 거쳤고 증여세를 모두 납부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홍 후보자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활동 경력과 국회의원 재직 시절 ‘부의 대물림’ 비판 발언 등을 고려하면 이런 재산증여 과정이 일반국민의 정서에 반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