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0월 쌀값 15년만에 상승 '풍년의 역설'

정부 초과생산량보다 더 매입해 가격 오른듯

농식품부 “벼수확 마무리 될때까지 가격 주시”

10월 수확기 산지 쌀값이 15년 만에 처음 올랐다. /연합뉴스10월 수확기 산지 쌀값이 15년 만에 처음 올랐다. /연합뉴스


공급 과다로 거의 매년 하락했던 수확기 산지 쌀값이 15년 만에 처음 올랐다.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5일 기준 산지 쌀값은 쌀 한 가마인 80㎏ 기준 15만1,164원으로, 직전 조사인 이달 15일 기준 가격(15만984원)보다 180원 올랐다. 지난해 같은 시기(2016년 10월 25일 기준 12만9,628원)보다는 16.6% 증가했다.


이달 들어 산지 쌀값은 정부의 수확기 쌀값 대책이 발표된 직후인 지난 5일 직전 조사가격(9월 25일 기준·13만3,348원)보다 13.2% 오르며 15만 원대에 진입한 데 이어 15일(0.1%↑), 25일(0.1%↑) 등 상승세를 탔다. 본격적인 수확기가 시작되는 10월 들어 산지 쌀값이 오른 것은 2002년 이후 15년 만이다.

관련기사



당해 생산된 햅쌀은 보통 매년 10월부터 수확돼 시장에 풀리기 시작하는데, 갑자기 공급된 많은 물량이 미처 다 소진되지 못한 전년도 생산 쌀(구곡) 물량과 맞물려 10월만 되면 거의 예외 없이 쌀값이 내려갔다. 풍년일수록 쌀값 걱정을 해야 하는 ‘풍년의 역설’이라는 말도 그래서 나왔다. 작년의 경우 10월 가격이 약 20년 전 가격 수준인 12만원대로 폭락하며 농가의 심리적 마지노선인 13만원 선마저 무너진 바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수확기 쌀값 대책이 예년보다 일찍 발표됐고, 초과생산량보다 더 많은 양을 정부가 매입하기로 한 방침이 시장에 신호를 줘 가격 회복을 불러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값이 폭등하지 않는 한 가격이 다시 내려가지 않도록 정부가 매입한 쌀은 가급적 시장에 방출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직 정부나 농협이 농가로부터 사들이는 매입 물량이 많은 편이 아니고 추가 가격 상승을 기대해 쌀을 보유하고 있는 농가들도 있다”며 “벼 수확이 마무리되는 내달 초까지 가격 추이를 주시하겠다”고 덧붙였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