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사·교육전문가 98.6%…"예전보다 학생 지도 힘들어졌다"

'학생 인권강조 따른 교권의 상대적 악화'가 가장 큰 이유

교사를 비롯한 교육전문가 대부분이 과거보다 학생 생활지도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 연합뉴스교사를 비롯한 교육전문가 대부분이 과거보다 학생 생활지도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 연합뉴스


교사를 비롯한 교육전문가 대부분이 예전보다 학생 생활지도를 어려워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30일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교사, 교장·교감·원장, 대학교수 등 교원 1,196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98.6%(1,179명)가 “학생생활지도가 과거보다 어려워졌다”고 생각했다. 조사 대상자 비율은 교사 65.3%, 교장·교감(원장·원감) 30.2%, 교수 4.5%다. 생활지도가 어려워졌다고 응답한 교원 중 87.2%가 “매우 어려워졌다”고 호소해 교사들이 학생을 제지하고 가르치는 데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됐다.

교사들은 과거보다 ‘문제아’가 많아졌다기보다 교권이 약해져 생활지도가 어려워졌다는 반응을 보였다. 생활지도가 어려워진 이유로 가장 많이 꼽힌 것은 ‘학생 인권 강조에 따른 교권의 상대적 약화’로 전체 중 31.3%(785명)였다. ‘체벌금지정책 등으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에 대한 적절한 지도권 부재’(30.2%·758명)와 ‘자기 자녀만 감싸는 학부모’(24.9%·624명) 등이 뒤를 이었다.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이 증가했다’고 답한 응답자는 12.8%(320명)였다. 응답자 79.4%(945명)는 학교별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교육청 산하 교육지원청이나 경찰서 등 외부기관으로 옮기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했고 적절하지 않다는 17.1%(204명) 기타 응답은 3.4%(41명)로 나타났다. 교총은 “학교폭력이 증가하면서 학폭위 운영 업무부담이 늘어났다”며 “최근 학부모들이 학교폭력 사건 초기 단계부터 변호사를 고용해 법적 대응을 하면서 학폭위가 전문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 등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학생 간 가벼운 다툼은 학폭위에 넘기지 않고 담임교사 선에서 해결하는 ‘담임종결권’ 도입에는 응답자 90.1%(1,069명)가 ‘적절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담임종결권 도입이 부적절하다는 7.3%(87명), 기타 응답은 2.5%(30명)였다.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말리거나 수업 중 자는 학생을 깨우고 격려하기 위해 학생의 어깨를 두드리는 등 ‘교육활동 중 신체접촉’ 기준을 마련하는 데는 69.1%(827명)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찬성 응답자 중 42.0%(351명)는 신체접촉 기준 마련 방법으로 ‘교육부 매뉴얼’을 꼽았고 뒤로는 법률 38.3%(320명), 시행령 등 하위법령 18.7%(156명)이라는 답이 많았다. 신체접촉 기준 마련에 반대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27.9%(334명)로 집계됐다. 기준설정에 반대한 이들 중 61.2%(205명)는 ‘신체접촉 상황이 다르므로 법령에 일률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고 36.4%(122명)는 ‘기준을 악용할 우려가 있다’고 생각했다.

교총은 이번 설문조사는 이달 11∼17일 이메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83%포인트라고 설명했다.

/김연주인턴기자 yeonju1853@sedaily.com

김연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