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세포 속 '지방질 터널' 구조 밝혀져

UNIST 이창욱 교수팀, 주요 막접촉점 단백질 구조 분석

소포체-미토콘드리아 인지질 수송 원리 규명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 속에서 물질이 전달되는 새로운 경로와 원리가 확인됐다. 기존에는 작은 주머니(소낭)을 이용해서 세포 소기관끼리 물질을 주고받는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소낭 없이도 직접 물질을 주고받는 현상이 발견돼 그 원리를 푸는 연구가 활발했다.

이창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는 진핵세포 내에서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가 만나는 부분(막접촉점)에서 직접 ‘인지질’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단백질 두 개가 결합하면서 만든 특별한 구조가 일종의 터널이 돼, 그 사이로 인지질이 쉽게 드나든다는 내용이다. 이 연구결과는 인지질 수송 문제로 생긴 질병 연구와 치료에 중요한 자료가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이 교수팀에 따르면 인지질은 생체막을 이루는 주요한 성분인데,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효소를 모두 이용해야 합성할 수 있다. 두 기관 사이에서 인지질이 드나드는 통로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지질은 인을 포함하는 지질(기름 성분)이라, 물을 좋아하는 부분(친수성)과 물을 싫어하는 부분(소수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 교수팀이 발견한 단백질 구조는 물을 싫어하는 환경(소수성)을 만드는 ‘지방질 터널’인데, 이 덕분에 인지질의 소수성 부분이 이 터널 속을 쉽게 드나들 수 있어서 물질 수송에 효과적인 다리가 된다.

이창욱 교수는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사이에서 인지질이 수송되는 구조와 원리를 밝힌 이번 연구는 생명의 기원에 대한 이해를 돕는 귀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세포 내 물질 이동 문제로 생기는 질병 치료에 새로운 이론적 단초를 제공할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