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文대통령, 노사정 대표자 회의 추진...사회적 대화 본궤도 오르나

문성현 위원장 "국감 끝나는 대로 대표자회의 준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4일 오후 청와대에서 노동계를 초청해 만찬을 함께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김주영 한국노총위원장, 문 대통령, 허권 금융노조위원장, 이성경 한국노총 사무총장, 문성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4일 오후 청와대에서 노동계를 초청해 만찬을 함께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 김주영 한국노총위원장, 문 대통령, 허권 금융노조위원장, 이성경 한국노총 사무총장, 문성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노동계가 간담회를 연 이후 사회적 대화 복원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사정 3자 간 신뢰 구축을 위한 대표자 회의가 추진된다.

문성현 노사정위원장은 30일 연합뉴스와 한 통화에서 “이달 말 국정감사가 끝나는 대로 대통령이 노동계 초청 간담회에서 언급한 노사정 대표자 회의 개최를 위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노사정 대표자 회의가 성사되면 문재인 정부가 추진해온 사회적 대화 복원 작업도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문 위원장은 “노사정 대표자 회의든 한국노총이 제안한 노사정 8자 회의든(노사정 대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달라고 당부하신 만큼 국감이 끝나면 (노동계) 분위기를 살펴보고 같이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노사정 대표자 회의를 두고는 “사회적 대화 복원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한 뒤 “대통령도 노동계가 결국 법적 권한을 지닌 노사정위에 들어와야 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지난 24일 밤 청와대에서 열린 간담회에 불참한 민주노총과 관련해 아쉬움을 표시하면서도 문 위원장은 “현재 집행부에 사회적 대화에 소극적이거나 부정적 의견이 있는 분들이 있지만 앞으로는 대화하겠다는 게 주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이번 간담회에 ‘왜 안 갔느냐’고 할 것만 아니라 노사정위에 복귀할 수 있도록 의견도 내고 격려도 해서 연착률을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 위원장은 민주노총이 안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언급하면서도 민주노총이 “그동안 한국사회 발전에 기여한 면도 분명히 있다”며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질타하기보다는 이런 점을 감안해 끌어안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