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브리핑+백브리핑] 허리케인 후유증 앓는 푸에르토리코…전력 복구사업 원점서 재검토

지난달 초강력 허리케인 ‘마리아’가 강타한 뒤 아직 대규모 정전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미국령 푸에르토리코가 전력복구 사업을 돌연 원점부터 재검토하기로 했다.

29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리카르도 라모스 푸에르토리코 전력청장은 기자들과 만나 미국 에너지 업체 화이트피시에너지와의 3억달러(약 3,376억 원) 규모의 전력복구 사업 계약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허리케인으로 전력망의 70%가 파괴된 푸에르토리코는 이번 계약 파기로 정상화 작업이 10~12주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화이트피시에너지 측에 계약 시점 이후 발생한 비용 1,100만달러까지 물어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크리스 치암스 화이트피시에너지 대변인은 “이번 결정은 자연재해 이후 본토 국민들과 마찬가지로 전력이 빠르게 복구되기를 원하는 푸에르토리코 사람들의 바람을 지연시킬 뿐”이라고 비난했다.



■복구 갈 길 먼데…계약 파기 왜

시공 맡은 화이트피시에너지

직원 2명 불과해 적격성 논란

美 내무장관 개입 의혹 불거져


허리케인 피해 복구로 갈 길이 먼 푸에르토리코가 전력복구 공사 계약을 파기한 것은 시공업체인 화이트피시에너지의 적격성 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설립 3년차인 이 회사는 주로 산악지대 전력망 복구 등 작은 일거리를 맡아왔으며 푸에르토리코와 계약을 체결하기 전까지 직원이 2명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연방 하원 천연자원위원회는 이 계약이 어떻게 체결됐는지를 두고 배경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일각에서는 화이트피시에너지 최고경영자(CEO)인 앤디 테크먼스키와 고향이 같은 라이언 징키 미 내무장관이 계약 과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화이트피시에너지 측은 다른 에너지 회사들이 재정상태가 열악한 푸에르토리코에 감당할 수 없는 계약금을 요구한 반면 자사는 300만달러만 제시해 계약이 성사됐다고 주장했다. 징키 장관도 성명을 발표해 “화이트피시에너지가 푸에르토리코에서 계약을 따낸 것과 절대로 관련이 없다”면서 “본인은 물론 내 사무실의 누구도 이 회사를 어떤 식으로든 옹호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