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카풀앱 ‘풀러스’, 220억 시리즈A 투자유치

네이버·미래에셋 합작펀드와 콜라보레이티브펀드, SK 등 국내외 투자자 참여

국내 최대 규모 시리즈A 투자…김태호 대표 “서비스 개선과 우수 인력 확보 집중”



카풀 앱 ‘풀러스’를 서비스하는 풀러스는 시리즈A 투자를 통해 220억원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220억원의 투자유치는 국내 시리즈A 투자 중 최대 규모다. 풀러스는 확보된 자금을 통해 기술 투자와 마케팅 등 시장확장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투자에는 신성장기술펀드(네이버·미래에셋 합작펀드)와 옐로우독, SK, 콜라보레이티브 펀드 등이 참여했다.단 각 사별 정확한 투자금액과 지분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투자에 참여한 네이버-미래에셋 합작펀드인 ‘신성장기술펀드’는 4차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첨단 스타트업 기업 공동 발굴과 투자를 위해 지난해 12월 1,000억원 규모로 결성됐으며, 옐로우독은 최근 P2P금융업체 ‘렌딧’과 어린이 통학차량 ‘셔틀타요’ 운영사 ‘에티켓’, 여행 숙박업체 ‘스테이즈’ 등 공유경제 관련 기업에 활발하게 투자하는 신기술금융사다.

관련기사



콜라보레이티브펀드는 공유경제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성공한 기업에 투자하고 있는 미국의 대표적 투자펀드로 차량공유업체인 ‘리프트(Lyft)’와 크라우드펀딩 기업 ‘킥스타터(Kickstarter)’ 등에 투자했다.

SK㈜는 2015년 국내 카셰어링 1위 업체인 쏘카에 지분 투자한 이후로 2017년 쏘카와 말레이시아 카셰어링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 미국 개인간(P2P, Peer to Peer) 카셰어링 1위 업체인 TURO(투로) 투자에 이어 풀러스 유상증자에 연이어 참여하면서 Mobility 관련 투자를 확대해가고 있다.

김태호 풀러스 대표는 “이번에 확보된 자금은 시장 확대와 서비스 이용 편의를 위한 서비스 개발과 이를 위한 양질의 인력확보 등 기술 영역에 우선 사용할 예정”이라며 “풀러스가 지향하는 교통 및 환경 문제의 혁신적 해결로 라이드쉐어링의 가치를 증명하는데 더욱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풀러스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카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는 전국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고 있다. 풀러스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카풀시장 선두주자로써의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