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중소기업이 신북방경제시대 열어야

성원용 인천대 동북아국제통상학부 교수

성원용 인천대학교 동북아국제통상학부 교수




문재인 대통령의 동방경제포럼 참석을 계기로 한국 경제의 활로는 북방경제협력에 있으며 그 주역이 될 중소기업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필자는 지난 9월 말 중소기업중앙회가 러시아 이르쿠츠크에서 개최한 ‘2017 KBIZ 글로벌포럼’에서 두 가지 중대한 변화의 흐름을 발견했다. 하나는 북방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중소기업들의 비장한 자세와 결기이다. 2016년 기준 한국의 대러 투자 비중은 총 해외투자의 1%에도 미치지 못함에도 중소기업계는 러시아를 ‘포스트 차이나’로 인식하고 있었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한중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 등으로 미래를 알 수 없는 중소기업들이 절박한 심정으로 개척할 새로운 해외시장을 찾고 있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중소기업이 극동지역의 개발 잠재력에 새롭게 주목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아마도 새 정부가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에 부응해 신북방정책을 표방하며 ‘9-브리지(9개의 다리)’ 전략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극동개발 의지를 천명한 점이 나름대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막연한 환상은 경계해야 한다. 영토가 넓으니 시장도 단순하지 않다.

관련기사



해결책은 기업의 투자 진출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데 있다. 가장 절실한 것이 금융 지원이다. 과거 총 30억달러의 투융자 플랫폼을 구축해놓고도 실제로 집행은 하나도 하지 않은 오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

시장 진출 의지가 있어도 비용 부담을 걱정해 시장조사 자체를 주저하는 중소기업이 부지기수다. ‘블루오션’ 운운하며 시장에 대한 막연한 관심만을 재촉할 것이 아니라 정부가 시장조사 비용의 일부를 분담함으로써 중소기업이 북방시장의 실체를 자각할 수 있어야 한다.

정부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결국 성공을 만들어가는 주체는 기업이다. 열악한 부분은 중소기업 간 컨소시엄 구성으로 극복하면 된다. 도전의식을 갖고 혁신을 주도하는 중소기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북방경제 개척에 참여하기를 기대한다.

접촉 면이 더 넓어지고 이해가 깊어져야 ‘기회의 창’이 ‘성공의 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