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국정원 "朴정부 국정원, 靑 상납 돈은 특수공작사업비"

靑 상납 돈 뇌물 여부는 안 밝혀

적폐청산 조사 이달 내 마무리

서훈(오른쪽) 국가정보원장을 비롯한 국정원 차장들이 2일 오전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강석호 국회 정보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연합뉴스서훈(오른쪽) 국가정보원장을 비롯한 국정원 차장들이 2일 오전 서울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강석호 국회 정보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2일 박근혜 정부 당시 국정원이 안봉근 전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 등에 상납한 돈이 특수공작사업비에서 나갔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적폐청산 관련 조사를 이달 안으로 마무리할 계획이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상납한 40억원이 판공비인지, 특수활동비인지를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고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이 돈의 성격이 통치자금 지원인지 뇌물인지를 따지는 질문에 “검찰 수사 중이라 수사 결과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서훈 국정원장은 국정원이 이같은 일에 동참한 원인에 대해 “대통령과 국정원장 문제가 가장 크다”며 “권력이 정보기관을 권력의 도구로 쓰려는 부분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답했다. 그는 국정원의 대공 수사기능에 대해 “현재 역량이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다른 곳으로 이관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또 국내 정보 수집 기능 폐지에 따라 과거 존안카드를 작성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현재 인사 자료를 작성하지 않는다”며 “청와대에서 요청이 와도 답변할 수 없다. 다만 신원조회 업무는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국정원은 적폐청산 작업을 이달 내로 마무리하고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 후속 조치에 착수할 계획이다.

국정원은 “남은 사건도 이달 중 마무리 짓고 재발방지책 마련 등 후속조치를 이행해 나가겠다”면서 “새롭게 ‘제2기 국정원’ 시대를 열어나가겠다는 각오로 대내외 안보현안에 빈틈없이 대처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진행된 적폐청산 관련 조사에 대해서는 “외부 민간위원 중심으로 출범한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가 현재까지 23차례 회의를 개최해 국정원 내부 조직인 조직쇄신 태스크포스(TF)와 적폐청산 TF의 운영사항 자문 및 국정원 개혁 방안을 제시해 왔다”며 “조직쇄신 TF 활동을 통해 국내 정보 수집과 분석 부서를 해체 편성하고 해외·북한·방첩 차장으로 개편해 국내 정치와 절연하고 본연의 업무 역량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적폐청산 TF는 겸직직원 4명을 포함해 전원 국정원 직원으로 구성된 내부 감찰기구로 15건 사건의 진상규명에 주력하는 중”이라며 “현재까지 댓글·보수단체 지원 등 10개 사건의 조사내용을 개혁위에 보고하고 불법 행위 혐의가 있는 원세훈 전 원장 등 전직 3명과 민간인 49명을 수사 의뢰했다”고 덧붙였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