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단독주택 전월세전환율 첫 7%대로 하락

2015년 7월 이후 25개월간 8%대 유지

입주물량 증가·월세 떨어지면서 하락

주택종합 전환율은 6.4%…아파트 4.7%

지난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택종합 유형별 전월세전환율(단위:%)/한국감정원 제공=연합뉴스지난 3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택종합 유형별 전월세전환율(단위:%)/한국감정원 제공=연합뉴스


평균 8%대를 유지하던 단독주택 전월세전환율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7%대로 하락했다.

3일 한국감정원이 지난 9일 신고된 실거래 정보를 활용해 전월세전환율을 산정한 결과 단독주택 같은 경우 7.9%로 나와 전월(8.0%) 대비 0.1%p(포인트) 떨어졌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이다.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보다 월세 부담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1년 10.5%였던 단독주택 전월세 전환율은 2015년 7월 이후 2년 1개월 동안 8%대를 유지했다. 9월 조사에서 처음 7%대로 내려왔다. 최근 아파트 등 주택 입주물량이 증가하면서 전셋값이 안정된 가운데, 주로 월세가 하락하면서 전월세전환율을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4.7%로 4개월 연속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과 달리 연립·다세대도 8월 6.4%에서 9월 6.3%로 0.1%p 하락하면서, 비(非)아파트 월세 수요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전월세전환율은 지난 3월 이후 4.1%를 유지했다.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은 6.4%를 기록한 가운데 서울이 지난 8월 5.5%에서 9월에는 5.4%로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7.1%에서 6.9%로, 대구가 7.5%에서 7.4%로, 경기도가 6.5%에서 6.4%로 각각 떨어졌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