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저무는 옐런 시대...'트럼프 정치'에 단임 그쳐

첫 여성 의장으로 양적완화 종료 등 이끌어

시장과 소통하며 긴축시대 전환 긍정 평가

차기 연준 의장에 제롬 파월 현 이사 지명

104년 역사상 첫 연방준비제도 여성 의장인 재닛 옐런(71). 차기 의장으로 제롬 파월(64) 현 이사가 지명되면서 내년 2월 임기를 마치면 물러나게 됐다./연합뉴스104년 역사상 첫 연방준비제도 여성 의장인 재닛 옐런(71). 차기 의장으로 제롬 파월(64) 현 이사가 지명되면서 내년 2월 임기를 마치면 물러나게 됐다./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104년 역사상 첫 여성 의장인 재닛 옐런(71)이 내년 2월까지인 첫 번째 임기를 마치고 물러난다.

2일(현지시간) 후임 연준 의장으로 제롬 파월(64) 현 이사가 지명됐다. 관행적으로 정권이 바뀌더라도 연준 의장은 연임해왔다. 정치 이념에 구애받지 않고 독립적인 통화정책을 보장한다는 상징적인 의미에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행이 깨졌다. 옐런 의장은 ‘4년 단임’으로 물러나게 됐다. 단임으로 임기를 마치는 것은 1970년대 말 윌리엄 밀러 전 의장 이후 40년 만이다. 역대 최악으로 손꼽히는 밀러 전 의장은 17개월 만에 자리에서 내려왔다.


앨런 그린스펀(1987~2006년) 전 의장은 대통령 4명에게서 거듭 신임을 받으며 19년간 연준 의장 자리를 지켰다. 1987년 ‘블랙먼데이’부터 2000년대 초반 IT 버블 사태까지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경제 위기를 극복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덮치던 때 임기를 시작한 벤 버냉키(2006년~2014년) 전 의장은 더 많은 자금을 시중에 풀었다. 버냉키 전 의장은 직접 자산을 사들이는 방식을 택했다. ‘양적완화’ 정책을 적극 펼친 버냉키 전 의장에게는 헬리콥터로 돈을 뿌린다는 뜻에서 ‘헬리콥터 벤’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세계 경제가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연준 의장 자리를 이어받은 옐런 의장에게는 양적완화를 끝내는 것이 주된 임무였다. 옐런 의장은 지난 2015년 12월 10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린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4차례 인상해 1%대로 끌어올렸다. 양적완화 시대를 거치며 4조 5,000억 달러까지 불어난 연준 보유자산을 줄여나가는 작업도 지난달 시작했다.


양적완화를 종결짓는 과정에서 옐런 의장은 시장과 소통하며 주도한 점진적 금리 인상과 자산 축소 방침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전 ‘체력’을 회복했고 기초 경제도 튼튼해졌다. 미국 뉴욕증시 주요 주가지수도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관련기사



시장은 옐런 의장 연임을 기대했다. 긴축 시대로 넘어가면서 전환기를 비교적 무난하게 이끌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장을 바꾸면서도 ‘파월 카드’를 선택한 것이 옐런 체제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온다.

옐런 의장 임기는 내년 2월로 끝나지만 연준 이사 임기는 오는 2024년 1월까지다. 임기가 남았지만 옐런 의장이 이사직에서도 관행에 따라 사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옐런 의장은 이날 성명을 내고 파월 지명자에게 축하하는 뜻을 전하며 ‘원만한 의장교체’(smooth transition)를 강조해 이사직에서도 물러날 것임을 시사했다.

뉴욕 브루클린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난 옐런 의장은 브라운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예일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엔 하버드대 조교수,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UC버클리) 교수 등으로 일했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장을 거친 옐런은 2010년 연준 부의장에 오르며 버냉키 전 의장과 호흡을 맞췄다. 2014년 여성으로선 처음으로 연준 의장에 올랐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