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임금근로자 3명중 1명은 비정규직...5년사이 최고 수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시간제 근로자 증가로...1년 전보다 7.1%↑ 654만명

비정규직 근로자가 전체 임금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아졌다./연합뉴스비정규직 근로자가 전체 임금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아졌다./연합뉴스


비정규직 근로자가 전체 임금 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올해 8월 기준으로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654만 2,000명으로 1년 전보다 9만 8,000명(1.5%) 늘었다. 전체 임금 근로자 1,988만 3,000명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32.9%로 2012년 8월 33.3%를 찍은 이후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다. 비정규직 비율은 2013년 3월 32.3%, 2013년 8월 32.6%, 2014년 3월 32.1%, 2014년 8월 32.4%, 2015년 3월 32%, 2015년 8월 32.5%, 2016년 3월 32%, 2016년 8월 32.8%로 오르내렸다.

통계청 관리자는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이 높아진 원인으로 시간제 근로자 증가를 꼽았다. 올해 8월 시간제 근로자 수는 1년 전과 비교해 7.1% 증가했다.


같은 시점을 기준으로 비정규직 근로자를 유형별로 나누면 한시적 근로자가 370만 8,000명, 시간제 근로자가 266만 명, 비전형 근로자가 209만 2,000명이었다. 단순 합계가 비정규직 근로자 전체 수보다 많은데 각 유형에 중복으로 집계된 근로자가 포함됐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한시적 근로자에는 기간제 근로자와 비기간제 근로자가 모두 들어간다. 기간제 근로자는 근로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다. 비기간제 같은 경우 근로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았지만 계약을 갱신·반복해 계속 일할 수 있는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하기 어려운 근로자를 가리킨다. 시간제 근로자는 주 36시간 미만으로 일하기로 돼 있는 근로자로 같은 직장에서 똑같은 업무를 하는 통상 근로자보다 더 짧은 시간 일한다. 비전형 근로자는 특수한 노동을 제공하는 근로자다. 파견근로자, 용역근로자, 특수형태 근로자, 일일 근로자, 가정 내 근로자 등이 있다.

시간제로 일하는 근로자 가운데 폐업이나 특별한 구조조정 등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계속 직장에 다닐 수 있는 근로자(고용 안정성이 있는 근로자)는 비율이 59.9%로 지난해 8월보다 3.0%p(포인트) 늘었다. 시간제 근로자 평균 근속 기간은 1년 9개월이었다. 남성(1년 5개월)이 여성(1년 10개월)보다 짧았다. 최근 3개월간 시간제 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80만 원으로 1년 전보다 5만 9,000원 늘었다.

올해 8월 정규직 근로자는 총 1,334만 1,000명으로 전체 중 67.1%를 차지했다. 지난해 8월보다 15만 8,000명(1.2%) 증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 따라 2016년 주요국 비정규직 근로자(Temporary Worker) 비율을 비교하면 한국은 21.9%로 일본(7.2%), 영국(6.0%), 캐나다(13.3%), 독일(13.1%), 네덜란드(20.8%)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국보다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 나라는 폴란드(27.5%)와 스페인(26.1%)이 있었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