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슈로더운용 “한국 투자자, 내년에도 투자보다 예금에 더 우선순위”

글로벌 자산운용사 슈로더는 ‘슈로더 글로벌 투자자 스터디 2017’ 설문조사 결과 한국 투자자들은 내년 가계 가처분 소득에 대한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 은행에 예금하겠다는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30개국의 2만2,000여명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슈로더 글로벌 투자자 스터디 결과 내년에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가처분소득 계획에 대해 한국 투자자는 은행 예금에 예치하겠다가 19%로 가장 높았으며, ‘주택 구입(16%)’, ‘증시 투자(12%)’가 뒤를 이었다.

이는 투자를 하고자 한다는 응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글로벌 결과와 상이하다. 전체 글로벌 응답자의 23%가 주식, 원자재, 채권 등과 같은 자산에 투자하고자 한다고 응답했으며 이어 ‘기대할 수 있는 이자수익이 적거나 없더라도, 가처분 소득을 은행에 예치(16%)’하거나 ‘집에 보관하겠다(4%)’고 답했기 때문이다다. 주택자금 대출을 포함한 부채에 대한 상환을 우선시 하겠다는 응답자는 9%에 그쳤다.


이런 추세는 아시아 국가들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중국(45%), 대만(45%), 홍콩(39%), 일본(38%) 순으로 투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높게 매기고 있었다. 유럽 내에서는 스웨덴(29%)과 이탈리아(26%)에서 투자를 선호하는 추세가 가장 두드러진 모습이 나타났다. 반면 프랑스(16%), 러시아(18%), 포르투갈(23%) 의 응답자들은 투자보다는 은행예금에 저축하는 것에 우선순위를 두겠다고 답했다. 미국, 캐나다, 브라질, 칠레를 포함한 아메리카 지역은 19%의 응답자들이 투자를 우선하겠다고 답했으며, 그 다음으로 16%의 응답자들이 은행예금에 예치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은 북아메리카 국가들의 투자자들보다 주택 구입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번 설문조사 결과 투자자들이 비현실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고 있다는 점도 나타났다. 지난 30년간 MSCI 전세계 지수가 연평균 7.2% 수익률을 기록했음에도 전세계 투자자들은 추후 5년 연 평균 10.2% 수익률을 기대(유럽 8.7%, 아시아 11.7%, 아메리카는 11.7%의 연평균 수익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지정학 환경 및 그것이 투자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질문에는 글로벌 투자자와 한국 투자자가 비슷한 비율의 응답 결과를 보였다. 절반 이상(59%)의 응답자들은 위험부담이 큰 투자는 당분간 피하고 싶다고 답한 반면, 비슷한 수의 응답자들은 전세계의 이벤트들이 ‘투자기회가 될 것(57%)’ 혹은 국제 정치 및 세계적 사건들이 자신의 ‘투자 목적 달성에 큰 방해가 되지는 않을 것 (54%)’ 이라 답했다. 한국 응답자들 역시 같은 질문에 대해 ‘투자기회가 될 것(51%)’, ‘이전만큼 위험이 감수되는 투자를 하고 싶지 않다(50%), ‘투자 목적 달성에 큰 방해가 되지는 않을 것 (41%)’등의 답을 보이며, 조금은 서로 모순된 답변을 보였다.

사샤 밀러(Sasha Miller) 슈로더 시장 정보 팀 총괄(Head of Market Intelligence)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 투자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다는 것은 사람들이 현재 투자에 대해 어느정도 높게 신뢰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지난 9년간의 상승장이 이에 영향을 미쳤거나 혹은 더디지만 안정적인 전세계의 경제 성장세가 바탕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투자자들은 비현실적인 수익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높은 기대로 많은 투자자들은 연금 마련과 같이 재무 목표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실망하게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