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사드해빙...현대차 계열사 숨통 트이나

中 판매량 반등, 실적 회복세

현대제철 등 "안정찾고 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이 해소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현대차 계열사의 실적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기업인 현대차가 사드 보복에 노출되면서 중국에 동반 진출했던 계열사들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지만 현대차 중국 판매량의 반등으로 계열사 실적도 회복세를 타고 있다는 분석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강학서 현대제철 사장은 최근 “중국 법인 실적이 부진했으나 점차 안정을 찾고 있다”며 “하반기 중국 스틸서비스센터(SSC) 다섯 곳 중 세 곳은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말했다. SSC는 현대제철의 자동차 강판 해외 판매 자회사로 주로 현대·기아차와 거래한다. 현대제철은 중국 베이징·장쑤·쑤저우·톈진·충칭에 판매법인을 두고 있다.


올 상반기 현대차가 사드 보복 직격탄을 맞으면서 쑤저우 법인을 제외한 중국 SSC는 모두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116원의 순익을 냈던 베이징 법인은 올 상반기 -11억원으로 돌아섰다. 톈진, 장쑤 법인도 각각 68억원 흑자에서 57억원, 2억원 적자로 추락했다.

관련기사



강 사장이 반등을 자신한 건 현대차의 중국 판매량이 바닥을 쳤다고 판단해서다. 지난 5월 지난해 대비 65%에 달했던 월별 판매 감소폭은 7월 들어 28.6%로 감소하더니 9월에는 18.4%로 더 줄었다.

현대차발 훈풍은 현대위아도 예외가 아니다. 현대위아의 산둥 법인 영업이익 적자 폭은 2·4분기 109억원에서 19억원으로 80% 이상 줄어들었다. 산둥 법인은 중국에 진출한 현대위아 법인 중 현대자동차에 납품하는 유일한 곳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회복세를 반기면서도 사드와 같은 급변 사태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사드 사태는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을 극명하게 보여준 것”이라며 “사태가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기는 했지만 지금이라도 중국 내 판로 다양화 등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