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락헌은 현대적인 한옥 건축의 모범사례다. 여백, 자연과의 조화라는 한옥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주거 편의성도 동시에 만족시켰기 때문이다.
낙락헌은 일반적인 한옥 모양인 ‘ㄷ’자 형태를 취하지 않고 있다. 이 경우 대청에서의 전망이 제대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은평 한옥마을 한 가운데 자리하고 있는 대지는 녹음이 우거진 맹꽁이 습지와 커다란 느티나무가 가까이 있고 북한산 전경이 한 눈에 펼쳐지는 곳이다. 건축주는 이같은 주위 경관을 십분 즐길 수 있는 ‘전망 좋은 집’을 원했다. 그래서 누마루와 3칸 대청이 부채꼴 땅 모양 맞게 이어지도록 한 디자인으로 변경했다.
일반적인 한옥의 문제인 주차와 수납 공간 부족 등을 필로티 구조로 해결한 점도 특징이다. 최근 도시한옥에서 자주 도입되는 2층 구조는 여전히 좁고 답답한 느낌을 탈피하기 힘들다. 그러나 낙락헌은 필로티 구조로 누마루 슬래브를 ’한 손으로 쟁반을 받치듯이’ 띄워 올려, 그 아래로 주차와 현관, 수납 공간 등을 배치했다. 나머지 공간에도 선큰과 채광창을 넣어 한옥의 지하를 ‘밝고 쾌적한 거주 공간’으로 바꿨다.
아랫층과 윗층은 실용적이고 섬세한 계단 공간을 통해 위아래로 이어진다. 이 공간은 아래는 모던한 건축공간이면서, 위는 벽돌벽에 한옥의 도리를 꽂아 기와지붕을 얹은 ‘중간적인 성격의 공간’ 역할을 한다.
윗 층에 올라서면 역시 밝고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주변의 자연 경관을 내부에서 최대한 조망 할 수 있도록 대청과 누마루 창호 계획이 유독 돋보인다.
설계자는 “한옥을 현재의 삶과 호흡하는 ‘살아있는 집’으로 하기 위해, 전통과 현대의 양식이 공존하는 주거의 새로운 스타일을 제안하고 싶었다”며 “낙락헌이 미래 건축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주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심사위원들은 이같은 시도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심사위원들은 “낙락헌은 전통과 현대의 양식을 조화롭게 작업한 새로운 형태의 주택 건물”이라며 “전통적인 내부공간을 지상층에 계획하여 한옥의 장점인 여백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현대 한옥의 모범적인 활용의 사례”라고 평가했다. 다만, ‘ㄷ’구성 한옥을 포기한 대신, 주택의 마당이 활성화되지 못한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