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백브리핑] '필기시험 부활' 고민하는 은행들

특혜 의혹 차단하려 우리 등 도입

상위권 대학 출신 쏠림현상 우려

채용비리 의혹에서 불거진 사정(司正) 바람이 금융권을 강타한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필기시험을 강화하는 방안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필기시험이 강화되면 채용 과정에서 외부 청탁과 같은 개입 요인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채용비리에 따라 이광구 행장까지 물러난 우리은행은 내년 신입 행원 선발부터 필기시험을 부활시키기로 최근 결정했다. 이에 따라 5대 시중은행 가운데 필기시험을 치르지 않는 곳으로 신한은행만 남게 됐다. KB국민은행과 농협은행은 논술시험을 치르고 있고 KEB하나은행은 상식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채용 쇄신 방안을 내놓으라고 하는데 뾰족한 방안이 없으니 (당장 가시적으로) 필기시험 체계를 개편하는 방안을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문제는 필기시험이 강화될 경우 쏠림현상 등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필기시험의 난도가 올라가면 서울 상위권 대학 출신의 합격자 비율이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지방대 출신 등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지방대생 채용이라는 정책 방향과 배치되는 역설이 생긴다.

관련기사



시험의 난도 상승에 따라 사회적 비용도 커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과거 삼성그룹은 삼성직무적성검사(SSAT) 응시자가 10만명을 넘기며 ‘삼성 고시’라는 말이 나오자 응시 횟수를 제한하는 고육지책을 내놓기도 했다. 금융당국 내부에서도 시험 난도를 높이는 방식의 필기시험 부활에 대해 부정적인 기류가 강해 금융권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