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한미정상회담]文 "균형외교, 美ㆍ中 사이 아닌 외교지평 넓히는 것"

■한미정상 기자회견 일문일답

트럼프 "北에 美와 대적할 수 없다는 것 많이 보여줘"

"험프리스는 한국 보호하기 위한 것"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공동 언론행사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한미 공동 언론행사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연합뉴스


7일 한미 정상회담 후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강조한 ‘균형외교’와 관련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외교를 하겠다는 게 아니라 중국·러시아·유럽연합(EU) 등과의 외교관계를 다변화해 보다 균형 있는 외교를 해나가겠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동북아 외교 문제에서 한국을 배제하는 ‘코리아 패싱’은 없다”고 못 박았다. 다음은 일문일답.

-북한 위협과 관련해 외교적 전략이 성공했다고 생각하나.


△트럼프 대통령:성공인지 아닌지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현재로서는 북한이 옳은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북한에 우리에게 대적할 수 없음을 알게 하는 많은 힘을 보여줬다고 본다. 가장 큰 항공모함 3척을 전개했고 핵잠수함도 주변국에 배치하고 있다. 다시는 이런 부분(전략무기들)을 실제로 사용할 일이 없기를 바란다.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나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북한 주민에게도 좋고 전 세계 시민들에게도 좋다. 이 부분에서 움직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두고 보겠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군사적 증강이라고 했는데 의미는 뭔가.

△문 대통령:우리가 첨단 정찰자산을 비롯해 미국이 보유한 군사적 전략자산 획득에 대해 양국 간에 협의를 시작하기로 했다는 말이다. 한국의 자체 방위력과 연합 방위력을 높이는 데 꼭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트럼프 대통령:(한국이) 상당 부분을 획득하기로 이야기됐다. 한국이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장비를 주문한다고 했다. 미국에서도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관련기사



-외신 인터뷰에서 균형외교의 중요성에 대해 말했는데 미중 간 외교적 균형을 말하는 건가. 한반도 평화체제 정착에 합의했다고 했는데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에 어떤 구체적인 역할을 기대하고 있나.

△문 대통령:균형외교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하겠다는 게 아니라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한국 외교의 지평을 넓히겠다는 것이다. 중국도 당연히 포함돼 있고 아세안·러시아·EU 등 국가들과의 외교관계를 다변화해 보다 균형 있는 외교를 해나가겠다는 뜻이다.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미국과 중국은 각각의 역할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미국은 북한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주도하고 있다. 그것이 반드시 효과를 낼 것으로 확신한다. 중국도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 이행에 동참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것 역시 북핵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은 지금 이야기할 단계가 아닌 것 같다. 북한의 도발을 중단시키고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지금은 제재와 압박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본다.

-캠프 험프리스는 한국 정부 예산 9조원이 투입되고 주민과 수년간 갈등을 빚어온 곳이다. 한국인들의 ‘코리아 패싱’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한국은 굉장히 중요한 국가다. 한국을 우회하는 일은 없을 거다. 험프리스 기지는 놀라운 군사시설이라고 생각한다. 굉장히 큰 돈이 들었다는 점을 알지만 우리도 많은 돈을 지출했다.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지출한 것이지 미국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일부 비용을 부담했다는 점을 말하고 싶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