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병욱 “5·18 계엄군, 희생자 시신에 흰 페인트 칠하고 지문 훼손”

김병욱 “5·18 계엄군, 희생자 시신에 흰 페인트 칠하고 지문 훼손”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군이 비무장 민간인 희생자의 신원파악을 방해하기 위해 시신에 페인트를 칠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은 7일 보도자료를 내고 5·18 기념재단 측에서 제출받은 광주 민주화 운동 피해자 개인 구술기록 자료를 확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자료에 따르면 당시 광주광역시 소태동에서 흰 페인트가 칠해진 민간인 시신 7구가 발견됐으며, 전남대 병원 시체실에도 많이 있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자료에 담긴 부상자 조모 씨의 1999년 6월 11일자 구술기록에는 ‘당시 소태동에 시체가 묻혀있다고 해서 가보니 7구가 있었다. 얼굴에 페인트를 칠해 버리고 칼로 지문을 다 잘라버린 시체였다. 도청 통로에 안치해 가족을 찾아주려고 했으나 찾지 못했다’는 내용이 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또 다른 부상자 정모 씨의 1999년 8월 11일자 구술기록에는 ‘1980년 5월 19일 계엄군에 붙잡힌 후 훈방돼 1주일 만에 집에 돌아왔는데, 아내는 내가 죽은 줄 알고 시체를 찾으러 돌아다녔다. 아내는 전남대 병원 시체실에 시체가 겹겹이 널려 있었고 부패 정도도 심한 데다 페인트가 끼얹어져 있어서 시신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도 매우 어려웠다고 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관련기사



김 의원은 “이런 개인 구술기록은 2천400여 건이 남아 있는데, 5·18 기념재단은 이를 공개하지 않고 보관만 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진행된 예결위 종합정책질의에서도 이런 사실을 언급하면서 “당시 광주에서 군종 신부 훈련을 받은 성직자 역시 비슷한 내용을 제보했다. 당시 복무했던 사람들에게 더 정확한 진술을 받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국방부 서주석 차관은 “진상규명을 위해 국방부도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이낙연 국무총리 역시 “형언할 수 없을 만큼 가증스러운 일들이 저질러졌다고 생각한다”며 “국회에 계류된 5·18 특별법이 빨리 제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