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늘려야 할 공공시설로 어린이집·유치원 꼽은 30대

통계청 '2017년 사회조사 결과'

女 취업장애 1순위는 육아 부담



우리나라 30대는 가장 늘려야 할 공공시설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꼽았다. 여성 취업 장애요인 1순위는 ‘육아 부담’이었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우리 사회의 출산·육아 환경이 여전히 열악하다고 느끼고 있다는 얘기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7년 사회조사 결과(만 13세 이상 3만9,000명 대상)’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앞으로 늘려야 할 공공시설로 보건의료시설(24.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사회복지시설(18.3%)과 국공립 어린이집 및 유치원(17.5%)이 꼽혔다. 특히 출산 적령기인 30대에서는 37.3%가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골랐다.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육아 부담(45.9%)을 선택한 비율이 가장 많았다. 30대(58.2%)와 40대(50.2%)에서는 절반을 넘었다. 정부가 국공립 보육시설을 늘리고 관련 수당도 지급하고 있지만 현실 속 부모들의 고충을 풀어주기에는 한참 못 미치고 있는 셈이다.


가정보다 일을 우선시하는 경향은 꾸준히 감소해 올해 처음으로 50% 이하로 줄어들었다. 일과 가정생활의 우선순위에 대한 질문에 ‘일이 우선’이라고 답한 비율이 지난 2015년 53.7%에서 올해 43.1%로 대폭 낮아졌다. ‘가정생활 우선’이라는 응답은 같은 기간 11.9%에서 13.9%로 뛰어오르며 삶의 무게중심이 일보다 가정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삶의 질을 엿볼 수 있는 지표는 대체로 개선됐다. 전반적인 생활여건이 좋아졌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5년 38.8%에서 41.1%로 증가했다. ‘나는 중간층’이라고 생각하는 비율도 56.5%에서 57.6%로 소폭 올랐다. 소득에 만족하는 비율은 11.4%에서 13.3%로, 소비생활은 13.9%에서 15.4%로 각각 높아졌다.

공동체보다는 개인에 주목하는 경향도 강해졌다. 지난 1년간 기부 경험은 2015년 29.9%에서 26.7%로, 기부 의향도 45.2%에서 41.2%로 낮아졌다. 기부를 하지 않은 이유는 ‘경제적 여유가 없다(57.3%)’가 주류였다. ‘기부에 관심이 없다’는 비율도 15.2%에서 23.2%로 훌쩍 뛰어올랐다.

세종=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