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언론 “한미정상회담 대북기조 엇박자 없었다”

'화염과 분노' 대신 '협상' 강조한 점 주목

문재인(오른쪽)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청와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오른쪽)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청와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언론들이 7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차분한 분위기 속에 마무리됐다”고 평가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문제와 관련해 거친 언사 대신 대화를 강조하며 문재인 정부의 대북 기조와 엇박자를 내지 않은 모습에 주목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향해 거친 표현들을 억제하면서 누그러진 언사를 사용했다”며 “또한 평양을 향해 협상 테이블로 돌아올 것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한 점에 주목한 것이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문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과의 대화는 북한 주민은 물론 전 세계인들에게도 좋은 일”이라고 밝힌 점 등에 주목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이 있을 때마다 ‘화염과 분노’ ‘북한과의 대화는 시간 낭비’라는 표현을 써왔지만 이번 발언은 지난 몇 달간의 이야기와는 전혀 다르다”고 평가했다.


CNN 방송도 “트럼프 대통령이 낙관적인 어조를 사용했다”며 그의 대북 발언 수위가 낮아졌다고 전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여전히 북한을 압박했지만 ‘로켓맨’과 같은 선동적인 발언을 반복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정치 전문매체 폴리티코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러시아를 향해 북한 핵 위협과의 전쟁에서 더 많은 일을 하라고 주문했지만 과거 공격적인 수사를 벗어나 매우 다른 어조를 취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북한과의 협상을 시간 낭비로 생각하는지에 대해 말하길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의 절제된 표현은 국제사회의 보다 강력한 대북 제재 등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간 USA투데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톤 다운’이 계속될지, 정말 평화적 방법을 추구하는지 회의론도 있다”며 “변화된 그의 발언은 국제사회에 더 강력한 경제·외교적 압박을 주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신들은 방한 기간 중 북핵 시설 타격을 위한 군사적 옵션 발언이 나오지 않은 점에도 주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한반도에 전개한 각종 무력시위를 언급하며 “(군사적 옵션이) 실제로 사용할 일이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제전문매체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향해 협상을 강조하면서 핵무기 포기를 논의하자고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전쟁 위협 대신 외교적 노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음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