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는 하 변호사의 사외이사 선임에 대해 “과거 정치 경력이나 비영리단체 활동 이력이 이사회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불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에 주로 몸담았고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이력을 문제 삼은 것이다. 금융보다 친환경과 관련한 시민활동에 관심이 높았던 인물의 전문성에 의문을 제기했다고 볼 수도 있다. 한마디로 은행의 경쟁력에 별 도움이 안 된다는 얘기다. 여당 의원들까지 끌어들여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사를 무리하게 밀어붙였던 노조로서는 국제적 망신을 당한 꼴이다. ISS는 대표이사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조치도 ‘주주 가치에 부합한다고 볼 수 없다’며 반대했다. 철저하게 주주의 관점에서 판단하는 외국인 투자가들이 주주 권리를 침해하고 경영 자율성마저 위협하는 노조의 행태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잖아도 새 정부 들어 금융권 노조의 경영권 간섭은 도를 넘고 있다. 경영진 교체를 요구하는 노조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제 몫부터 챙기겠다는 이기주의도 극성을 부리고 있다. 여기다 정부마저 노동이사제, 외부감사 추천권 등 친노조 정책을 내놓아 노사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다. 관치에 이어 노치에 휘둘린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처럼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지 않는 경영행태가 유지된다면 세계 꼴찌 수준이라는 금융산업의 경쟁력 회복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금융권 노조는 이제라도 무리한 경영간섭을 자제하고 은행 본연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