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60년 전 한국과 비교하면 밤이 낮된 것처럼 놀라워"

6·25직후 의료지원 獨하우저씨

60년만에 첫 방한 소회 밝혀

6·25 전쟁 직후 독일 의료지원단에 속해 부산에서 의료지원 활동을 했던 독일인 칼 하우저(87) 씨가 9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인터뷰하고 있다./연합뉴스6·25 전쟁 직후 독일 의료지원단에 속해 부산에서 의료지원 활동을 했던 독일인 칼 하우저(87) 씨가 9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인터뷰하고 있다./연합뉴스


“60년 전의 한국과 지금의 한국은 밤과 낮이라고 할 만큼 차이가 큽니다.”

6·25전쟁 직후 독일(당시 서독)이 한국에 파견한 의료지원단에 속해 한국에서 의료지원 활동을 한 독일인 칼 하우저(87)씨가 국가보훈처의 초청에 5박6일 일정으로 약 60년 만에 방한해 9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국내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독일 의료지원단은 정전협정 체결 직후인 지난 1954년부터 5년 동안 부산에서 활동했다. 이들은 전쟁 부상자를 포함한 25만여명을 치료하고 6,000여명의 출산을 도왔으며 한국 의료진에 대한 교육 활동도 했다. 하우저씨는 117명(연인원 기준)의 독일 의료지원단 중 유일한 생존자다.

하우저씨는 독일 의료지원단의 전기기술자였다. 당시 부산에는 변변한 발전 시설도 없어 의료지원단은 독일에서 가져온 디젤 발전기 2대를 돌려 전기를 자체 생산해야 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파괴된 독일에서 온 젊은 하우저씨의 눈에도 6·25전쟁 직후의 한국은 찢어지게 가난한 곳이었다. 서울을 방문할 기회도 있었지만 경부선도 경부고속도로도 없던 당시에는 부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데 꼬박 하루가 걸렸다.

관련기사



하우저씨는 “그때만 해도 한국은 마치 지하세계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황폐한 곳이었죠. 지금은 삼성과 같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을 배출한 나라”라며 “독일도 재건에 40년이 필요했지만 한국의 지난 60년은 놀라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하우저씨는 7월 독일 베를린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화제가 됐다. 당시 독일을 방문한 문 대통령은 한국이 어려운 시절 인도주의 정신을 발휘해 도와준 독일 의료지원단에 감사를 표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저를 보고 독일 병원이 좀 더 오래 의료지원 활동을 했으면 어떻게 했겠느냐고 묻길래 ‘당연히 한국에 더 머물렀을 것’이라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부인과 두 손녀 등 가족과 함께 한국에 온 하우저씨는 오는 11일 젊은 시절 활동했던 부산 독일적십자병원 터를 찾아 기념비에 헌화하고 참배할 예정이다. 하우저씨와 함께 의료지원단에 속했던 수간호사 고(故) 샤롯데 코흐 수녀와 라이너 숍 박사 등의 유가족도 함께한다.

이들은 같은 날 부산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리는 6·25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 행사인 ‘턴 투워드 부산’에도 참석한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