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틸러슨 美국무 "국제사회 대북 제재로 北경제·군부 이미 타격"

"中도 분명한 신호 느끼고 美와 공유"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AP연합뉴스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AP연합뉴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9일(현지시간) 국제사회의 북핵 제재가 군부 일각을 포함한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최근의 대북 제재로 북한 경제가 영향을 받고 있다고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수행해 아시아를 순방하고 있는 틸러슨 장관은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양국 정상회담 후 브리핑에서 “우리 측 정보와 다른 소식통을 통해 파악한 바로는 대북 제재가 북한 경제와 주민은 물론 군부 일부에까지 압력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신호가 보인다”며 “이는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틸러슨 장관은 “중국도 이미 분명한 신호들을 느끼고 우리와 공유해왔다”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이를 벌써 느끼고 있다. 북한에 얼마나 큰 압력을 만들어냈는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해외 금융계좌, 해외 노동자 문제 등 매우 세부적인 사항까지 논의됐다고 전하면서 “제재 여파로 중국과 북한 국경에 인접한 많은 사업장이 문을 닫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중국은 지난 9월 유엔의 새 대북 제재가 채택된 이래 대북 경제제재에 적극 가담해왔다. 최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신발·화장품 공장 등 경제현장을 잇달아 시찰하며 원료 국산화 등을 강조한 것도 강화된 대북 제재로 어려움을 겪는 북한 상황을 말해준다는 평가다.

틸러슨 장관은 북핵 문제와 관련된 미중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서도 “해법이 일부 다르지만 양국 간 의견 불일치란 없다”고 강조한 뒤 “우리는 중국의 협력에 감사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의 평화 압박 노력을 유지하는 데 그치지 말고 (중국이) 훨씬 더 행동할 필요성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한편 틸러슨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베트남에서 만나 북핵 제재 공조를 논의할 수 있다는 전망에 대해서는 “아직 공식 양자회담에 관한 합의는 없다”며 “만약 한다면 의미 있는 회동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