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운석이 지구 다른 곳에 떨어졌으면 공룡 멸종 없었을 것"

일본 도호쿠대학 연구팀 연구 결과

매연 일으키는 유기물이 덜 매장된 지층이었다면 달랐을 것

6,600만 년 전에 지구와 충돌한 거대운석이 다른 곳에 떨어졌다면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을 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서울경제DB6,600만 년 전에 지구와 충돌한 거대운석이 다른 곳에 떨어졌다면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을 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서울경제DB


6,600만 년 전 지구에 떨어진 거대운석이 다른 곳에 떨어졌더라면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을 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일본 도호쿠대학 연구팀은 거대운석 충돌 때 나온 매연 양을 슈퍼컴퓨터로 분석했다. 당시 배출된 양만큼 매연이 나올 수 있는 지층을 조사한 결과 충돌 지점이 몇백㎞만 어긋났다면 공룡이 현재까지 번성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지름 약 10㎞에 달하는 거대운석은 6,600만 년 전 멕시코 유카탄 반도 부근에 떨어졌다. 당시 운석 충돌로 땅속에 매장된 매연과 유산염 알갱이가 대기를 뒤덮자 햇빛이 차단됐다. 지구는 급격히 차가워졌다. 2억 2,000만 년 전부터 번성했던 공룡은 달라진 지구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익룡류와 암모나이트 등과 함께 멸종됐다. 운석 충돌 영향으로 생물의 75% 이상이 사라졌다.

매연은 땅속 유기물이 연소해 발생한다. 도호쿠대 가이호 구니오 교수(지구화학) 연구팀은 거대운석 충돌로 발생한 매연을 기상청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분석했다. 만약 매연 230~2,300 테라그램(테라는 1조 배)이 고도 1만m 이상인 성층권을 덮으면 지구 평균 기온이 8~11도 내려가는 것으로 나왔다. 기온을 급격히 바꿀 수 있을 정도로 매연을 방출할 수 있는 지층을 조사했는데 실제로 운석이 떨어진 지점을 포함해 지구상에 13%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됐다. 거대운석이 다른 곳에 떨어졌더라면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을 거라고 유추할 수 있는 근거다. /정지형인턴기자 kingkong93@sedaily.com

정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