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광군제發 한중 관계 복원 본격화 - 국내기업 성적은] 이랜드 하루 매출 767억… 신라면세점 30%↑

티몰닷컴 이랜드차이나 광군제 행사 이미지티몰닷컴 이랜드차이나 광군제 행사 이미지




티몰닷컴 LG생활건강 ‘후’ 광군제 행사 이미지티몰닷컴 LG생활건강 ‘후’ 광군제 행사 이미지


얼어붙었던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는 가운데 중국 최대 쇼핑 축제인 ‘광군제’를 맞아 국내 기업들도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올해 총거래액 기준 대비 판매 상위 국가에서 한국은 5위(지난해 3위)로 두 단계 내려갔으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등 그간의 한중 관계를 고려해볼 때 선전했다는 평가다.


우선 이랜드그룹의 중국 법인 이랜드차이나는 11일 광군제 하루 동안 온라인 쇼핑몰 티몰에서 4억5,600만위안(한화 약 76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 달성했던 일 매출 3억2,900만위안(한화 약 563억원)보다 39%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이랜드는 광군제에서 국내 기업으로는 3년 연속 부동의 매출 1위 자리를 지켰다.

관련기사



면세점·온라인쇼핑 등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신라인터넷면세점 중국몰의 1~11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가량 증가했다. 신세계면세점의 광군제 마케팅 기간 실적도 지난해보다 30%가량 증가했다. 5~11일 롯데면세점의 중국인 고객 매출도 전년 대비 11% 신장했다. 현대백화점그룹 온라인종합쇼핑몰인 현대H몰은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열흘간 ‘글로벌H몰’에서 발생한 광군제 매출이 지난해 동기간 대비 96% 신장하기도 했다.

K뷰티도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아모레퍼시픽은 11일 티몰 중국에서 약 3억8,700만위안(약 65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대비 53% 성장한 수준이다. LG생활건강도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11일 하루 동안 티몰에서 LG생활건강의 화장품과 생활용품 매출은 각각 68%, 104%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중 간 사드 갈등 해소로 중국에서도 반한 감정이 누그러져 한국 상품 판매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단체관광객 복귀 등 각종 교류 정상화 시점이 생각보다 빨라질 수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윤경환·변수연기자 ykh22@sedaily.com

변수연·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