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쓰레기 산이던 월드컵공원서 유엔 기후변화협약 총회 열자"

고건 전 총리 환경부·서울시에 제안

고건 전 국무총리가 “쓰레기산이던 월드컵공원에서 기후변화협약 총회를 열자”고 제안했다.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3) 참석차 독일 본을 찾은 고 전 총리는 11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책에 대해 “‘저탄소 녹색성장’을 내건 이명박 정부 이후 기후변화와 관련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축소돼 아쉽다”며 이같이 말했다.


고 전 총리는 지난 2008년 국내 최초의 민간 기후변화 대응기구인 기후변화센터 이사장을 맡은 후 9년째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현재 기후변화센터 이사장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맡고 있으며 고 전 총리는 명예이사장이다.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행사장을 둘러본 고 전 총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려면 국민 인식이 높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가 당사국총회를 유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는 “쓰레기 매립지에서 공원으로 변한 월드컵공원에서 당사국총회를 하면 의미 있을 것”이라며 “이를 환경부와 서울시에 제안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2002년 한일월드컵을 맞아 개장한 월드컵공원은 당시 서울시장이던 고 전 총리의 ‘작품’이다. 1978년부터 1993년까지 15년간 서울에서 나온 쓰레기 9,200만톤이 매립된 난지도를 생태공원으로 탈바꿈시켰다. 쓰레기산이던 곳에 노을공원과 하늘공원이 들어서고 사라진 난지천을 복원해 난지천공원을 만들었다.

고 전 총리는 또 북한에 나무 심기 사업을 펼쳐 탄소배출권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도 밝혔다.

북한 산림 복원을 지원하기 위해 ‘아시아녹화기구’를 만든 고 전 총리는 2010년부터 꾸준히 북한과 연계한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제안해왔다.

고 전 총리는 “해외에서 탄소배출권을 사올 게 아니라 기업이 북한에 나무를 심는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획득하면 된다”며 “이를 정부에 공식적으로 제안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박원순(왼쪽) 서울시장과 고건 전 총리가 11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의 ‘한국관’에서 만났다. /사진제공=서울시박원순(왼쪽) 서울시장과 고건 전 총리가 11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의 ‘한국관’에서 만났다. /사진제공=서울시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