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289호 왕궁리 오층석탑은 마한 시대의 도읍지로 알려진 익산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2㎞쯤 떨어진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기단(基壇) 위로 탑신(塔身)을 5층까지 올린 모습인데 덩그러니 외롭게 보이는 석탑이지만 수백 년을 관통하는 시대의 애정이 곳곳에 스며 있다. 탑의 지붕돌 모습은 백제계 석탑인데 탑 몸체 제작에 쓰인 수법이나 받침 표현양식은 신라 석탑을 따르고 있어 통일신라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됐으나 지난 1965년 해체, 보수공사 이후 고려 초기에 건립됐다는 쪽에 무게가 쏠렸다. 당시 석탑 안에서 발견된 사리병과 금동여래입상·청동요령·금강경판 등 백제에서 통일신라까지를 아우르는 고려 시대의 유물들은 ‘사리장엄구’로 국보 제123호에 일괄지정됐다. 이들 유물의 양식이 분명해 제작 시기를 밝혀내는 실마리가 됐고 백제의 옛 영토 안에서 고려 시대까지 유행하던 백제계 석탑양식에 신라탑의 형식이 일부 어우러진 고려 전기의 석탑이라는 현재의 중론에 이르렀다. 한편 최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의 발굴과정에서 지금의 석탑이 있기 전 목탑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발견됐고 심초석 등 중심부 구조가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받침돌 구조와 일치한다는 등의 이유로 백제 시대 목탑을 석탑으로 번안해 제작하는 과정에서 건립했다는 견해도 제기됐다. 탑의 기단부 기둥 사이에 길고 큰 네모난 돌을 지그재그로 맞물리게 여러 층 쌓아 올려놓은 것도 원래 목조탑의 형식이 석탑으로 넘어오면서 그대로 재현된 형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