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테러지원국 재지정' 대북 압박 정점 찍나

15일 아시아 순방 종결판 중대 성명 발표

한·중·일 등 세일즈 외교 성과도 강조할 듯

첫 아시아 순방을 사실상 마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귀국해 ‘중대 성명’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해 미 언론들은 물론 각국 외교당국이 그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직전 첫번째 목표를 ‘북핵 대응에 국제사회의 결의 강화’로 밝힌 바 있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 대북 압박 극대화에 정점을 찍을 가능성이 우선 거론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은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가 열린 필리핀 마닐라에서 지난 13일 “백악관으로 돌아가 수요일에 중대 성명을 발표하겠다” 면서 “무역과 북한, 그리고 많은 다른 것들에 관한 아주 완벽한 성명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장기간 순방으로) 녹초가 된 기자들이 잠시 쉴 수 있게 15일로 잡았다”며 궁금증을 유발했다.


취임 후 첫 아시아 순방의 종결판이 될 이번 발표에서 북한의 테러지원국 재지정 여부가 주요 내용에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은 힘을 얻고 있다. ABC 방송은 13일 “미 행정부가 관련 권고안을 제출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심사숙고 중”이라고 전했으며 백악관도 “순방 말미에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이 이번에 테러지원국에 재지정되면 9년 만에 다시 블랙리스트에 올라 국제 사회에 상징적 압박 효과가 클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순방 내내 대북 외교·경제적 압박을 강화해달라고 방문국들에 주문했는데 미국이 먼저 이행하며 앞장서는 효과도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순방 기간 대북 비난 발언을 의도적으로 자제하며 북미 간 대화의 문을 여는 데 관심을 보인 만큼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미루며 북측에 비핵화 협상을 촉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이 일각에선 제기된다.

무역과 관련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일본·한국 등에서 제기한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추가 압박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특히 방한 중 언급을 자제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에 추가 조치를 시사할 지 주목된다.

이와함께 아시아 각국이 미국의 첨단 무기와 항공기, 석유·가스 등을 수백억달러 규모로 구매하기로 해 기업인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이 세일즈 외교에서 낸 성과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무대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이 경우 통상 압력을 확대하는 발언들은 순위가 밀리거나 빠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순방의 경제적 성과를 최대한 포장하고 자랑하기를 좋아하는 반면 언론들이 순방 기간 실제 미측이 얻어낸 경제적 이익들을 충분히 조명하지 않았다는 아쉬움과 불만이 백악관에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