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자진사퇴와 거리 둔 전병헌..."개인입장일 뿐" 선긋는 靑

檢 소환 방침에 靑 거취 논의

與 내부서도 "결자해지해야"

文 귀국하자마자 '인사 실타래'

홍종학 후보자 임명 강행할 듯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3개국 순방을 마치고 15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3개국 순방을 마치고 15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7박8일의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면서 그동안 쌓인 숙제들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장 풀어야 할 퍼즐은 국회의원 시절 측근들의 비리 혐의와 관련해 검찰 수사선상에 오른 전병헌 정무수석의 거취 문제다. 이날 검찰의 한 관계자는 전 수석을 소환조사하겠다는 방침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이에 대해 청와대와 여당 내 일각에서는 전 수석의 자진사퇴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지만 상황을 예단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전 수석은 이날 오후 언론에 전한 입장문을 통해 “그동안 여러 억측 보도로 참담한 심정이었다. 언제라도 내 발로 가서 소명하고 싶은 심정이었다”며 “언제든지 나가서 소명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검찰의 공정한 조사를 기대한다. 대통령께 누를 끼치게 돼 참으로 송구스럽다”면서 “한편으론 사실 규명도 없이 사퇴부터 해야 하는 풍토가 옳은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있다”고 토로했다.

해당 입장문은 전 수석이 이날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과 협의를 한 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협의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임 실장이 전 수석의 결단을 요청했을 가능성이 크다.


청와대는 전 수석의 문제를 현 정권의 국정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규정하고 이번 사건의 대응에 어느 정도 선을 그으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이번 사건과 전 수석의 거취 등이 현 정권의 국정운영과 엮이기 시작하면 문재인 정부 초반 적폐청산 드라이브도 발목을 잡힐 수 있어서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전 수석의 입장발표를 두고 “춘추관을 통해 낸 것도 아니고 개인의 입장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임 실장이 대통령의 지침을 받아 논의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전 수석은) 경험이 많은 정치인인데 대통령의 의중이나 지시에 따라 (거취를) 결정할 리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여권 내부에서도 전 수석이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임명 문제도 발등의 불이다. 문 대통령은 홍 후보자 임명 의지가 있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말이다. 세금 등과 관련해 문제가 제기됐지만 불법 행위가 나오지 않았고 장관직 수행에 지장을 줄 만한 내용이 아니므로 인사를 철회할 분위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날 국회에 오는 20일까지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채택해달라는 요청서를 보냈다. 임명을 강행하더라도 국회를 마지막까지 존중하겠다는 제스처로 풀이된다.

신임 감사원장 인선도 난항이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명이 좀 많이 늦어질 것 같다”며 “이번주는 넘길 것 같다”고 말했다. 예비후보자 중 상당수가 고사하거나 검증 과정에서 결격사유가 발견됐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현직인 황찬현 감사원장의 임기는 다음달 1일 끝난다.

해외 이슈도 중국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 불씨가 남아 있고 미국과 아시아태평양 전략에 온도차를 드러내며 확실한 매듭이 지어지지 않아 안심할 수 없는 실정이다. /민병권·이태규기자 newsroom@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