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남경필 지사 "서울형 미세먼지 대책 불참…경기도만의 저감안 찾을 것"

"협의 없이 발표…수백억 들여도 실효 의문

10년내 모든 경유버스 전기버스로 대체"

11


경기도가 서울시의 미세먼지 대책에 불참한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서울시내 대중교통을 무료로 운행하겠다는 ‘서울형 미세먼지 대책’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데다, 실질적인 미세먼지 절감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서울형 미세먼지 대책’은 거부하고, 기존 경유 버스를 전면 전기 버스로 교체하는 등 경기도 자체적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남경필(사진) 경기도지사는 15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내놓은 이번 대책은 막대한 예산 투입을 요구함에도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검증되지 않은데다 도민안전을 위협하는 결과가 예상된다”며 “경기도 차원의 근본적이고 실질적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남 지사는 “자체적으로 오는 2027년까지 1,192억원을 투입해 도내 경유 버스 4,109대를 모두 폐차하고 친환경 전기버스로 대체하겠다”며 “오는 2020년까지 경기도에 전기차 5만대를 보급하고, 충전기 1만2,000대를 설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2005년식 이하 화물차 5만1,000여대 조기 폐차, 매연저감장치 설치, LPG엔진 개조 등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남 지사는 서울시의 일방적인 미세먼지 대책 발표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남 지사는 “서울시가 환승할인제를 함께 시행하는 경기도 등 11개 기관과 사전협의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발표한 ‘서울형 미세먼지 대책’에 대해 서울시를 제외한 모든 기관이 반대하고 있다”며 “수도권 미세먼지와 교통대책은 서울시 독단으로 결정할 수 없고 통합적 관점에서 숙의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남 지사는 효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서울시 주장대로 차량운전자 5명 중 1명이 버스나 지하철을 탄다고 해도 미세먼지 감소 효과는 1% 미만으로 예상된다”며 “대중교통 무료운행을 연간 15일 실시한다고 가정했을 때 연간 추정 소요예산 1,000억원 중 경기도는 367억원을 부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정책에 혈세를 투입할 수 없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남 지사는 “출·퇴근길 버스 승객이 20%만 증가해도 광역버스 입석률이 현재 9.6%에서 18.6%로 2배 정도 늘어나 200여 대의 광역버스 증차가 필요한데도 서울시는 단 한대의 증차도 동의하지 않고 있다”며 “‘콩나물시루’ 같은 버스로 도민 안전을 위협하는 대책에 동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