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공공기관 채용비리 의심사례 146건 신고…“조사 시 온정주의 없다”

기재부,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 이행 점검을 위한 관계부처 회의 개최

조규홍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차관보)이 17일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열린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 이행점검을 위한 관계부처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조규홍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차관보)이 17일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열린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 이행점검을 위한 관계부처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정부가 1,425곳 공공기관의 채용비리를 전수 조사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5일까지 146건의 비리 의심 사례가 신고됐다. 정부는 조사 과정에서 온정주의를 배제해 철저히 진상을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는 17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조규홍 재정관리관 주재로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 이행점검을 위한 관계부처 회의’를 열었다. 국무조정실,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금융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등 16개 부처가 참석했다.


조 재정관은 “이번 점검이 부처 온정주의에 흐르지 않도록 할 것이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추진할 것”이라며 “약속대로 이달 말까지 공공기관 330곳, 다음달까지 지방공공기관 등 1,095곳의 전수 조사를 마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지난 15일까지 채용비리 신고센터로 접수된 비리 의심 사례는 146건이었다. 지난달 27일 공공기관 채용비리 조사 계획을 발표한 이후 보름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집계 결과다. 기재부 관계자는 “신고·제보된 사안에 대해서 면밀하게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며 “비리가 어느 정도 확인된 사안은 중점 조사 등 후속 조치를 신속히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점검이 처벌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공정하고 투명한 채용 문화가 뿌리내릴 수 있는 제도·시스템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사실도 강조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음달 말까지 공공기관 채용비리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