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안철수·유승민 '빅텐트론'…첩첩산중에 '스몰텐트' 그칠지도

국민의당, 호남계 통합론 저지 위한 대책 논의에 분주

안철수계도 여론전 펼치며 반박

분당 사태 이를 경우 안철수 따를 의원 손에 꼽힐 지도

바른정당, 유승민 리더십 추가 탈당설 위기 부딪힐지도

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14일 국회 본청 국민의당 대표실에서 대표 취임 인사를 위해 찾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두 대표는 회동에 앞서 주변을 살피고 있다./연합뉴스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14일 국회 본청 국민의당 대표실에서 대표 취임 인사를 위해 찾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두 대표는 회동에 앞서 주변을 살피고 있다./연합뉴스




박지원 국민의당 전 대표가 통화를 하며 회의장으로 들어오고 있다./연합뉴스박지원 국민의당 전 대표가 통화를 하며 회의장으로 들어오고 있다./연합뉴스


중도보수통합론을 둘러싼 국민의당 내 호남계 반발이 커지는 가운데 안철수 대표가 주장한 ‘빅텐트론’이 성사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분당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오는 21일 의원총회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정계에서는 안 대표의 통합 의지에도 불구하고 바른정당과의 통합이 성사될 수 있을지 의문을 품고 있다. 분당이 될 경우 안 대표가 당내 세력을 끌어모으는 데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내 최대 계파인 호남계는 분당 사태까지 거론하며 조직적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안 대표의 통합론에 강한 불만을 제기하는 호남계 중진 의원들은 ‘평화개혁연대’를 결성하고 안 대표의 통합론에 맞서기로 했다. 박지원·정동영·천정배 의원은 주말 동안 모임을 갖고 호남 의원들 설득에 열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당이 ‘호남 정당’을 기치로 내걸고 창당한 만큼 당내 최대 계파는 ‘호남계’다. 호남을 기반으로 한 의원은 당 소속 의원의 절반이 넘는 21명이다. 안 대표와 뜻을 같이한다고 해도 호남에 지역구를 둔 탓에 호남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중도성향의 의원들이 섣불리 나설 수 없는 이유다.


최근 수석대변인을 맡은 손금주 의원은 의정활동에 전념하겠다며 수석대변인 자리에서 물러났다. 일각에서는 손 의원이 통합론으로 악화하는 호남 여론을 의식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호남의 어른인 박지원 의원이 연이어 안 대표의 리더십을 문제 삼는 발언을 하는 것도 호남계 의원들의 단속을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박 대표는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골목슈퍼 둘 합한다고 롯데마트가 됩니까, 이마트가 됩니까”라며 통합론을 내세우는 안 대표를 비판했다. 최근에는 한 라디오에 출연해 안 대표를 ‘저능아’라며 맹비난한 바 있다.

안철수계로 분류되는 의원들 대부분은 비례대표 의원이다. 최악의 경우 분당 사태가 일어나더라도 안 대표와 함께 탈당을 감행하기 어렵다. 탈당하면 그 날부터 의원직을 잃게 된다. 통합론에 호의적인 의원들은 수도권이 지역구인 의원들로 4명이다. 이를 고려하면 당이 쪼개질 경우 안 대표와 뜻을 같이할 의원들은 손에 꼽을 정도다.

바른정당과 합당해 중도보수 정당으로 자리매김하려면 원내 교섭단체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의당에서 최소 9명이 탈당해야 한다.

바른정당 상황도 복잡하다. 유승민 대표 선출로 당 지도부가 새롭게 구성되면서 3차 탈당설은 일단락됐다. 그러나 보수진영 결집 움직임이 일고 있어 추가 탈당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유승민의 측근인 조해진 전 의원이 바른정당을 탈당해 자유한국당에 복당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친이명박계 인사들은 바른정당 내 인사들과 접촉하며 한국당 복당을 부추기는 상황이다.

바른정당은 전당대회 전 12월 중순까지 통합에 대한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로 합의한 만큼 유 대표에게 주어진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당 안팎에서는 통합에 실패할 경우 12월 중순 이후 추가 탈당설이 또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고 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