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AI경보 '심각' 격상…가금농가 48시간 이동중지

[평창올림픽 앞두고 AI공포 확산]

'청정국' 지위 37일만에 박탈

농장·축산 등 12만개소 통제

20일 긴급 방역대책회의 개최

김영록(왼쪽 화면)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관련 긴급회의를 열고 관계부처·광역자치단체와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올겨울 들어 처음으로 전북 고창군의 한 농가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돼 오리 1만2,000여마리가 모두 살처분됐다. 정밀검사 결과 고병원성 H5N6형 AI 바이러스로 확진됐다. /연합뉴스김영록(왼쪽 화면)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9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관련 긴급회의를 열고 관계부처·광역자치단체와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올겨울 들어 처음으로 전북 고창군의 한 농가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돼 오리 1만2,000여마리가 모두 살처분됐다. 정밀검사 결과 고병원성 H5N6형 AI 바이러스로 확진됐다. /연합뉴스


올겨울 첫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검출된 전북 고창 육용 오리 농가가 고병원성 확진 판정을 받았다. 겨울철 도래하는 야생 철새 분변에서도 AI 바이러스 검출이 잇따르고 있어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방역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9일 전북 고창군 흥덕면에 위치한 한 육용 오리 농가에 대한 고병원성 AI 검사 결과 H5N6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지난 18일 해당 농가의 출하 전 검사과정에서 고병원성 AI 의심환축을 확인하고 고병원성 여부를 정밀검사했다. 이후 사육 중이던 오리 1만2,300마리를 전부 살처분하고 해당 농가를 중심으로 10㎞ 방역대를 설정해 농가 예찰과 이동통제 등 긴급 조치를 취했다. 올겨울 들어 야생 조류 분변에서 AI 항원이 꾸준히 검출됐지만 모두 저병원성이었다. 일반 가금농가에서 처음으로 검출된 바이러스가 순식간에 확산할 수 있는 고병원성으로 확인된 것이다.


지난해 11월 시작된 최악의 AI 사태를 어렵게 수습하고 얻은 ‘청정국’ 지위도 불과 37일 만에 박탈됐다. 일반 가금류 농가에서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이 나오게 되면 세계동물보건기구(OIE) 동물위생규약에 따라 그 즉시 청정국 지위를 잃고 수출 역시 전면 중단된다. 우리나라는 7월13일 전북 완주 농장의 가금류 1,136마리를 살처분한 뒤 3개월간 AI 추가 발생이 나타나지 않아 지난달 13일에 청정국 지위를 회복한 바 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AI 위기경보를 ‘주의’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 또 이에 따라 전국 가금류와 관련 종사자, 차량, 물품 등을 대상으로 20일 0시부터 21일 자정까지 48시간 동안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발령했다. 대상은 농장 7만6,000개소와 가금류 도축장 67개소, 사료공장 288개소, 축산 관련 차량 4만9,000대 등 모두 12만개소다. 인근 발생 지역과 연접 지역의 주요 도로에 설치된 통제초소도 전국 주요 도로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동중지 기간 중 중앙점검반을 구성해 농가 및 축산 관련 시설의 적정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위반사항 적발 시 관련 법령에 따라 과태료 부과 등 강력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I 발생 지역인 전북 고창군은 7일간 모든 가금류 사육농장 및 종사자의 이동이 중지된다. 이동중지 명령을 위반할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게 된다. 또 방역당국은 총력대응을 위해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을 본부장으로 한 AI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지방자치단체장을 중심으로 한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정부는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하는 긴급 방역대책회의를 20일 오전 개최해 향후 대책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