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급증…건당 손해액·치사율 '최고'

韓, 고령자 운전적성검사 느슨해...“대책 마련해야” 목소리 높아

지난 2일 오후 1시 20분께 경남 창원-김해간 장유방향 창원터널 앞에서 엔진오일을 드럼통에 싣고 이송하던 5t 화물차가 폭발해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뉴스지난 2일 오후 1시 20분께 경남 창원-김해간 장유방향 창원터널 앞에서 엔진오일을 드럼통에 싣고 이송하던 5t 화물차가 폭발해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뉴스


70세 이상 고령운전자가 낸 교통사고가 최근 10년 사이에 4배 이상 급증했다.

20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개인용 자동차보험의 사고통계를 분석한 결과 70세 이상의 사고 건수가 2006년 7,000건에서 지난해 2만9,000건으로 4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전체 사고 건수에서 7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6년 1.3%에서 지난해 3.8%로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와 30대는 같은 기간 사고 건수 자체가 줄었다. 40대는 사고 건수는 다소 늘었으나 전체 사고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했다.

고령운전자의 사고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고령 인구 자체가 늘어나 고령 운전자도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70세 이상 인구는 2005년 268만5,000명에서 지난해 403만5,000명으로 50.3% 증가했다.


고령운전자가 낸 사고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이 낸 사고의 손해액도 증가했다. 2006년 538억원에서 지난해 3,048억원으로 10년 사이 5.6배로 늘었다. 전체 손해액에서 자치하는 비중도 1.3%에서 4.2%로 크게 확대됐다.

관련기사



고령운전자의 건당 손해액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크다. 이는 고령운전자 사고의 심각성을 말해준다. 지난해 기준 70세 이상의 사고 건당 손해액은 188만7,000원으로 평균(162만2,000원)보다 16.3% 많았다. 연령대별로 비교하면 가장 많기도 했다.

사고피해자의 치사율도 고령운전자의 경우가 0.32%로 가장 높았다. 전체 평균인 0.23%보다 0.9%포인트(p) 높았다. 고령운전자가 도로·교통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7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적성검사 주기를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고 교통안전교육 이수를 의무화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으나 선진국과 비교하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일본은 75세 이상 고령자는 운전면허를 갱신할 때 치매 검사를 받도록 한다. 치매 판정이 나면 면허가 정지되거나 취소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운전자 연령과 신체 변화에 부합하는 운전면허 적성검사를 시행하는 등 선진국의 교통안전대책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임우철 인턴기자 dncjf8450@sedaily.com

임우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