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생명공학연구원, 울릉도 토양서 항암·항균 물질 발굴

지명 따 '울릉가마이드''울릉마이신''울릉고사이드'로 명명

새로운 항암제·슈퍼박테리아 저해제 연구에 활용 기대

울릉도 토양에서 찾은 토종 미생물로부터 새로운 항암·항균 물질이 발굴됐다. 기존 자연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화학 골격을 갖춘 이 물질은 울릉도의 지명을 따 ‘울릉가마이드’ ‘울릉마이신’ ’울릉고사이드‘로 각각 이름 붙여졌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암물질연구단(안종석 단장)은 울릉도 땅에서 분리한 토종 방선균으로부터 새로운 화학 골격을 가지며 항암·항균 활성 작용이 있는 미생물 대사산물을 발굴하는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방선균은 토양·해양 등 여러 환경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이다. 다양한 화학구조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어 항암·항생제 등 의약품 개발의 주요 자원으로 관심을 받아왔다. 이번처럼 기존에 발굴되지 않은 새로운 화학구조의 화합물을 발견하는 일은 기존 약물과 차별화되는 작용의 신약 개발의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지금까지 이용된 적 없던 울릉도 토양 샘플로부터 약 200여종의 방선균을 분리한 후 △배양조건의 다양화 △전체 게놈 서열 분석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등을 결합한 복합적 탐색을 실시했다. 그 결과 2종의 스트렙토마이신 속 방선균으로부터 신규 생리활성물질인 △울릉가마이드 A·B △울릉마이신 A·B △울릉고사이드를 각각 발굴했다.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생리활성 검정 결과 울릉가마이드는 새로운 항생물질로서의 가능성이 확인됐다. 울릉마이신은 암세포의 이동과 침윤을 저해하는 효과와 더불어 항생제 내성 세균의 증식 또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돼 슈퍼박테리아에 쓸 최신 항생제 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울릉고사이드는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생명연 측은 “발굴된 신규 물질들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항생제와 항암제를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울릉도 토양이 신약 개발을 위한 중요 자원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도 이번 연구는 뜻깊다”고 강조했다. 연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문연구단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논문은 유기화학·천연물화학 분야 권위지인 오가닉 레터스와 자연물 저널(Journal of Natural Products)에 실렸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