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퇴근 후 아이 돌봄? 워킹맘 80% "불가능"

통계청,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

늦은 퇴근 탓...대부분 학원에 맡겨

2115A08 엄마의취업상태별돌봄수정


‘워킹맘’ 가운데 오후6시 전까지 자녀를 조금이라도 돌보는 사람은 20%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늦은 퇴근 탓인데 이 때문에 워킹맘 대다수는 학원에 아이 돌봄을 맡기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열악한 ‘일·가정 양립’ 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통계다.

통계청과 통계개발원은 20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을 발표했다. 분석에 담긴 2015년 취업상태별 자녀의 돌봄서비스 이용 현황을 보면 12세 자녀 기준 취업모의 경우 부모가 직접 돌보는 비중은 19.4%에 그쳤다. 돌봄서비스 이용 현황은 초등학생의 경우 학교를 마치고 오후6시까지 돌봄을 받는 대상을 조사한 것이다. 즉 초등학생 자녀를 둔 워킹맘 5명 중 4명은 오후6시까지 자녀를 돌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워킹맘 자녀는 대신 47.0%(12세 기준)가 학원에 갔다.


반면 비취업모는 부모가 직접 돌보는 비중이 50.3%에 이르렀다. 학원 이용은 34.6%에 그쳤다.

관련기사



이런 상황은 아이 나이에 상관없이 비슷했다. 워킹맘은 육아휴직을 주로 쓰는 0~1세를 제외하고 2~12세까지는 자녀를 직접 돌보는 사람이 20%가 안 됐다. 반면 2~12세 아이를 둔 비취업모는 아이를 직접 돌보는 비중이 40~50%였다.

박시내 통계개발원 통계분석실 사무관은 “우리나라는 사교육 이용률이 높아 취업하지 않은 엄마도 자녀를 학원에 보내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취업모의 경우는 그 비중이 훨씬 높았다”며 “취업모는 퇴근이 늦다 보니 아이 돌봄의 목적으로도 아이를 학원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일을 하면서 아이를 키우는 것이 힘들다 보니 여성은 30세를 넘어가면 일을 관두는 경우도 많았다. 2015년 기준 25~29세 여성은 66.9%가 취업을 해서 같은 연령대 남성(64.7%)보다도 취업률이 높았다. 하지만 30~34세에서는 취업 비중이 58.9%로 뚝 떨어졌다. 남성은 같은 연령대 취업 비중이 85.9%로 급증하는 것과 대비된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