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금융전문가들이 지목한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의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꼽혔다. 북한 리스크와 미국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도 주요 위험요인으로 평가됐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전문가 68명 중 35%는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 문제를 지목했다. 이어 28%는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를, 24%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를 선택했다.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을 1순위 위험요인으로 선택한 응답자(3%)들도 있었다.
응답자들이 각각 지적한 5개 주요 위험요인을 응답빈도 순으로 단순집계한 결과에서도 가계부채와 북한 리스크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가계부채 문제가 87%로 가장 높았고 북한 리스크(82%), 미 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75%),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56%)이 뒤를 이었다.
올해 5월 상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가계부채 문제(85%→87%)가 여전히 가장 높은 응답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71%→82%)에 대한 응답 비중도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 12월 추가 금리인상이 확실시되는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3%→75%)에 대한 경계감도 더 높아졌다.
이번 조사에서는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국내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새로이 등장했다. 하반기 들어 정부가 6·19 대책, 8·2 대책 등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책을 연이어 내놨음에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값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에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포함됐던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은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한편 국내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7%는 ‘높다’고 답했다. 지난 5월(40%)보다 7%포인트 높아졌다.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4%로 지난번과 같았다.
3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도 지난 조사에 비해 소폭 낮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해 응답자의 53%는 ‘낮다’고 답했다. 지난 조사(51%)보다 2%포인트 높은 수치다.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13%로 지난번과 같았다.
중기적(1~3년)으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38%에서 34%로 낮아진 반면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15%에서 21%로 상승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한은이 지난 10월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 참가자,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총 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