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우리나라 금융시스템 최대 리스크 요인은 가계부채"

한은, 국내외 금융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北 리스크·美 금리인상·부동산시장 불확실성도 경계

국내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는 상승

2017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 /자료=한국은행2017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 /자료=한국은행


국내외 금융전문가들이 지목한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의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 문제가 꼽혔다. 북한 리스크와 미국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도 주요 위험요인으로 평가됐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전문가 68명 중 35%는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 문제를 지목했다. 이어 28%는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를, 24%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를 선택했다.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을 1순위 위험요인으로 선택한 응답자(3%)들도 있었다.


응답자들이 각각 지적한 5개 주요 위험요인을 응답빈도 순으로 단순집계한 결과에서도 가계부채와 북한 리스크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가계부채 문제가 87%로 가장 높았고 북한 리스크(82%), 미 연준의 금리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75%),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56%)이 뒤를 이었다.

올해 5월 상반기 조사와 비교하면 가계부채 문제(85%→87%)가 여전히 가장 높은 응답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71%→82%)에 대한 응답 비중도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 12월 추가 금리인상이 확실시되는 미국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3%→75%)에 대한 경계감도 더 높아졌다.

이번 조사에서는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국내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새로이 등장했다. 하반기 들어 정부가 6·19 대책, 8·2 대책 등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책을 연이어 내놨음에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값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에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포함됐던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취약업종 기업 구조조정은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관련기사



한편 국내 금융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항목에서 응답자의 47%는 ‘높다’고 답했다. 지난 5월(40%)보다 7%포인트 높아졌다.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4%로 지난번과 같았다.

3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도 지난 조사에 비해 소폭 낮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1년 이내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해 응답자의 53%는 ‘낮다’고 답했다. 지난 조사(51%)보다 2%포인트 높은 수치다.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13%로 지난번과 같았다.

중기적(1~3년)으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높다’고 응답한 비중은 38%에서 34%로 낮아진 반면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15%에서 21%로 상승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한은이 지난 10월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 참가자,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총 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집계됐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