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스닥지수의 상승세가 뚜렷하다. 지난 10월부터 현재(11월17일 기준)까지 코스피지수가 5.8% 상승한 데 그친 반면 코스닥지수는 18.9% 급등했다. 연간 기준으로도 코스닥지수는 23% 올라 코스피 상승률 25%를 따라잡을 기세다.
코스닥지수가 급등한 배경은 정책 기대감과 수급 개선으로 요약된다. 정부는 2일 핵심 혁신성장 추진전략으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을 발표했다. 코스닥 투자자 세제 인센티브 제공, 벤처투자자금 공급을 위해 3년간 10조원 규모의 혁신모험펀드 조성, 현재 2% 수준인 국민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을 오는 2020년까지 10% 올리는 방안 등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 확대, 코스피·코스닥 통합 벤치마크지수 개발 등 코스닥시장에 긍정적인 정책이 연이어 발표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 매도 우위였던 기관도 11월 들어 1조1,000억원을 순매수하면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언급된 여러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가 수급상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징은 기관의 매수가 코스닥시장 내 시가총액 상위주에 국한됨에 따라 코스닥150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상승률이 더욱 확대된 점과 제약·바이오업종의 쏠림현상이다. 현재 시장의 밸류에이션은 향후 12개월 추정치를 기준으로 할 때 코스피는 주가순이익비율(PER) 9.32배, 주가순자산비율(PBR) 1.03배인 반면 코스닥은 PER 17.8배, PBR 2.7배다. 특히 코스닥의 PBR 수준은 2015년 중소형주 급등장을 연출했던 2015년 7월의 고점(2.67배)을 상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정책 기대감을 반영해 선취매 성격이 강했던 코스닥시장에 대한 고평가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작 12월 금융위원회의 시장 활성화 방안 발표 시 차익 매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엿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8년 코스닥시장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유지한다. 무엇보다 대형 정보기술(IT) 기업의 업황 호조 및 이익 확대에 따른 낙수효과로 경쟁력 있는 IT 중소기업의 실적 호전이 뚜렷하며 제약·바이오 부문에서도 일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중국과의 관계 개선으로 눌려 있던 중국 소비관련주의 실적 증가도 예상된다. 정부의 중소기업과 코스닥 육성 정책이 효과를 발휘한다면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의 성장이 확대되고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는 벤처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코스닥시장의 일부 쏠림현상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와 국내 기업의 이익 창출력은 호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우호적인 환경에서 정부의 정책이 효과를 낸다면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벤처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체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