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대 중소기업청장을 지낸 한정화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는 우리 경제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고품질 기술창업 활성화’라며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질적 성장을 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기술 혁신의 잠재력을 가진 대기업이나 연구소, 대학 등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면서 “교수나 석박사 인력, 연구소 전문인력 등 특정 분야에서 10년 이상 전문성을 쌓인 고급 인력을 통해 혁신 성장 생태계 조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기존의 시장공급형 정책에서 수요견인형 정책으로 전환해 소비자가 찾고 싶은 혁신 제품이 환영 받는 시장 풍토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 벤처기업협회장이었던 조현정 소프트웨어산업협회 회장(서경 펠로)은 “중앙부처로 승격한 중기부가 여전히 힘이 없는 부처라는 게 지금 현장의 진단”이라며 “부처 승격 이후 상당 기간 수장이 없었던 탓도 크지만 초대 장관의 역할이 막중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고 언급했다. 조 회장은 “일각에서는 중소벤처 정책이 없다는 지적이 있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되지 않은 건 정책이 없어서가 아니라 실행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며 “혁신 성장이 핵심 키워드로 부각하면서 다양한 정책이 쏟아지고 있는 만큼 홍 장관이 세심한 전략과 강한 추진력을 갖고 혁신 성장의 이니셔티브를 잡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역할과 기능을 좀 더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노 연구위원은 “현재 중소기업 지원사업은 1,347개로 여러 부처에 흩어져 있는 상태”라며 “부처간 원활한 협의를 통해 중소기업 정책에 대한 중기부의 총괄·조정 기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에 ‘집행’ 중심의 정책이었다면 이제는 ‘기획’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옮겨, 지원사업 초기 단계부터 현장의 목소리를 세세히 담아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책지원금을 효율적으로 배분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유병준 서울대학교 벤처경영학과 교수는 “정부의 정책자금이 유망한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될 때 제대로 된 글로벌 히든 챔피언이 나올 수 있다”며 “정부 사업에 신청하는 기업들을 잘 분별해서 성장 가능성이 낮은 기업에까지 예산이 지원되는 비효율은 지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학에서 창업센터 일을 진행했던 유 교수는 “대학 창업센터 내 초기 창업 기업을 발굴하는 방향으로 투자를 늘려야 한다”며 “사업화 단계에 이르지 못한 아이디어 기획 단계에서부터 정부가 적극적으로 투자하면 탄탄한 창업 기업이 늘어나 실업률 감소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민정·백주연 기자 jminj@sedaily.com